도서관 관련 학술연구 주제와 자료를 소개합니다

대학 도서관 환경이 학생의 상호작용과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

2024년 03월 11일 | 도서관공간연구 | 코멘트 0개

The influence of university library environment on student interactions and college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2024년 3월11일

Zheng, Z., Zeng, M., Huang, W. et al.
The influence of university library environment on student interactions and college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Humanit Soc Sci Commun 11, 385 (2024).
https://doi.org/10.1057/s41599-024-02892-y

초록

지난 10년 동안 학습 참여는 연구자들로부터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중요한 요소인 학습 참여는 학생들의 장기적인 미래 발전과 사회적 창의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현재 연구에 따르면 대학생의 학습 참여도는 전반적으로 낮으며, 이는 교육의 질과 장기적인 발전에 매우 불리한 영향을 미칩니다. 학계에서 대학 도서관의 위치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러나 대학 도서관 환경이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이 연구의 데이터는 45개 중국 대학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나온 것입니다. 이 논문은 대학 도서관 환경, 학생들의 상호 작용, 학생들의 학습 참여 사이의 관계를 조사합니다. 그 결과 중국 대학생들의 문과와 이과 전공의 학습 참여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과 전공 학생들의 학습 참여도는 이과 전공 학생들에 비해 훨씬 낮았습니다. 도서관 환경이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도서관 환경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역할을 통해 대학생들의 학습 참여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인문계 학생의 경우 도서관 환경이 학습 참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이공계 학생의 경우 도서관 환경이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더 강하게 매개됩니다. 따라서 향후 도서관 환경의 구축과 리노베이션은 다양한 학문 분야, 특히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인문계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도서관의 공간적 특성을 통해 더 많은 학생들이 친근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대학생들의 전반적인 학습 참여도를 향상시켜야 합니다.

배경

대학 시기는 지식을 쌓을 수 있는 황금기이자 인생에서 중요한 발달 단계입니다. 학습 참여는 학생들의 학습 품질을 나타내는 필수 지표로서(Xie 등, 2020), 학생들의 학습 지속성, 학업 만족도, 학업 성취도 및 학업 완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입니다(Salanova 등, 2003; Kuh, 2009; Salanova 등, 2003; Tatiana 등, 2022; Mizani 등, 2022). 또한 고등 교육 추구, 학습 모델의 안정성, 직업 전망 개선, 긍정적 인 자기 인식 및 복지, 우울 증상 감소 등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장기적인 미래 발전 (Carini 등, 2006; Pintrich 등,(1990))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칩니다. (Li &Lerner, 2011; 살멜라-아로, 우파디야(2012); 살멜라-아로, 우파디야(2014); 투오미넨-소이니, 살멜라-아로(2014); 왕 &펙, 2013). 학습 참여는 학생들이 학습 과정에서 보여주는 긍정적이고 집중적이며 완전히 흡수된 상태를 말합니다(Trowler, 2010). 학습 참여도는 학생들이 학습 활동 중에 사용하는 인지 전략, 학습 행동의 양, 학습 중 정서적 경험 등을 포함합니다(Axelson &Flick, 2010; Mader &Bry, 2019; Puritat, 2019). 학습 참여도가 높은 학생은 학습에 대한 열의가 강하고 학습 과정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Carmona-Halty et al.,(2021)). 그러나 현재 결과에 따르면 중국 대학생의 전반적인 학습 참여도는 이상적이지 않습니다(Ma &Fu, 2021). 따라서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의 맥락에서 대학생의 학습 참여를 유지하고 개선하는 방법은 현재 연구에서 시급한 관심을 필요로하는 필수 요소가되었습니다 (Lei, 2022).

기존 문헌에서는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여 개인의 생리적 요인, 학습 지속성, 환경적 요인이 학습 참여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습니다(Fredricks et al., 2004; Lu et al., 2022). 사회적 학습에서 개인과 환경의 영향은 상호 의존적이며, 환경은 규범적 행동과 행동 자체의 심리적 표상을 자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Aarts &Dijksterhuis, 2003). 연구에 따르면 캠퍼스 환경과 건축 환경이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습니다(Shernoff, 2013; Karol &Mackintosh, 2011; Bandura et al., 1977). 일부 학자들은 고등 교육 기관의 중요한 부서이자 비공식 학습 공간인 도서관이 학생들의 학습 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Chan, 2012; Massengale 외, 2016; Bennett 외, 2015). 또한 도서관은 학생들에게 자율적인 학습을 배양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Nitecki, 2011). 허더즈필드 대학교에서 시행한 영국 도서관 영향력 데이터 프로젝트에 따르면 도서관 이용과 학위 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Massengale et al., 2016). 그러나 도서관 환경 요인이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도서관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 필요와 목표를 결정하고 의식적 또는 자율적으로 학습에 참여합니다(Bennett, 2009; Bennett et al., 2015). 스콧 베넷은 현재 도서관 설계의 단계를 “학습자 중심”이라고 부릅니다. 학습자 중심 설계의 첫 번째 초점은 의도적 학습을 촉진하는 공간을 만드는 것입니다(Bennett, 2009; Bond, 2020; Bennett et al., 2015). 의도적 학습이란 “우연한 결과가 아닌 내재적 목표로서의 인지적 학습 과정”을 의미합니다(Bennett et al., 2015). 물리적 도서관 공간의 가장 중요한 교육적 기능은 의도적 학습 문화를 조성하는 것입니다(Bennett et al., 2015). 학습 참여는 학습 과제를 의식적으로 완수하는 과정입니다(Abu-aisheh 외., 2016). 일부 학자들은 학습 공간이 행동을 장려하거나 제약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습니다(Blumenfeld et al., 2006). 의도적 학습 과정에서 독립적 학습 능력과 자기 훈련 능력이 향상되며(Hagaman &Reid, 2008; Sze-yeng &Hussain, 2010), 이러한 능력의 배양은 학습 참여(행동, 인지,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Lekissa &Hsiu-Ling, 2021). 학생들은 학습을 장려하는 공간에서 더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Matthews et al., 2011).

동시에 도서관은 학생들에게 “교실 밖에서 어울리고, 만나고, 비공식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Acker &Miller, 2005). 도서관의 이러한 공간은 사용자의 학습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학습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학생들 간의 열린 대화와 협력 학습이 장려될 수 있으며(Oblinger, 2004), 교실 밖에서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이 촉진될 수 있습니다(Hunley &Schaller, 2009). 또한 도서관은 그룹 학습 공간과 학습 공유 공간도 많이 제공하는데, 이는 도서관 계획의 주요 특징입니다(Bennett et al., 2015; Abu-aisheh et al., 2016). 말콤 브라운도 구성주의 이론(Brown, 2005; Montgomery, 2014)을 제시하며 도서관은 “학습/문화 환경 속에서 다른 사람들과 공존하는 장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Demas, 2005). 첫째, 도서관은 학생들의 사회적 학습 요구를 풍부하게 하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사회적 학습을 장려하는 공간에서 학생들이 더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습니다(Matthews et al., 2011; Montgomery, 2014). 인간은 다른 사람의 행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 사회적 동물입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학습하는 모습’ 또는 ‘다른 사람이 학습하는 모습’은 학습 행동에 귀중한 자극과 영감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Montgomery, 2014). 이 효과는 일반적으로 “동료 효과”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Poldin et al.,(2016)). 둘째, 학생들이 서로 소통하고 상호 작용할 때 그들의 생각과 행동이 교환되고 입력됩니다(Aarts &Dijksterhuis, 2003). Ubon과 Kimble(2003)은 학생들의 상호작용이 동기를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Rubin, 1975). 이전 연구에서도 학습 참여에 대한 동기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습니다(Wu et al., 2020). 셋째,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늘리는 것은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학생들은 복잡한 사회 환경에서 좋은 성장 정신을 유지하여 더 나은 학습 참여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Lei, 2022; Zhao et al.,(2021)). 요약하면, 대학 도서관 환경이 학생들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고립되어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차원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학생들의 상호작용은 도서관 환경과 대학생의 학습 참여 사이의 매개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대학의 우선 순위에는 학생들이 학습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사회화를 장려하며, 학습 참여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매력적이고 활기찬 도서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이전 연구에서는 도서관 환경과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Montgomery, 2014; Chih-Ming, 2013; Catherine, 2021), 교사-학생 상호작용 또는 온라인 상호작용과 강의실 학습 참여 간의 관계(Bailey, 2022; Harbaugh &Cavanagh, 2012)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습니다. 현재 도서관과 같은 자율적 학습 공간과 대학생의 학습 참여 및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매개 변수로 한 직접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는 없습니다.

중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 과학과 인문학 분야에 중점을 둔 차별화된 교육을 실시해 왔습니다. 과학 교육은 논리적 사고와 과학적 방법을 강조하는 반면, 인문학 교육은 사회와 인문학적 문제를 강조합니다. 문과와 이과를 전공하는 학생들은 학문의 성격, 전공 방향, 인지 패턴, 학습 환경, 취업 전망 등 다양한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입니다(허정 외, 2014). 따라서 대학의 공공 학습 공간인 도서관 내에서 문과 및 이과 학생들의 행동과 도서관 환경이 학생들의 상호작용과 학습 참여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은 다를 수 있습니다(허정 외, 2014). 특정 교양 과목은 읽기 및 쓰기를 더 강조하여 독립적인 학습 방식에 더 적합하게 만들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과학 전공 학생은 실험실 작업과 수학적 계산을 더 많이 요구할 수 있으며 소규모 그룹 내에서 협업할 수 있습니다(Entwistle, 2009). 학문 분야의 차이에서 비롯된 학습 및 사고 패턴의 차이는 학습 환경이 학생의 상호작용과 학습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특히 공공 및 교육적 목적을 모두 충족하는 대학의 필수 공간인 도서관 내에서 잠재적으로 차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기존 문헌에서 아직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 분야를 매개 변수로 고려하고 도서관 환경이 문과생과 이과생의 학습 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공백을 메우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조명하는 데 실질적인 의미가 있습니다.

환경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으며(Gifford, 2007; Schultz &Kaiser, 2012; Thaler &Sunstein, 2008), 교육 시스템에서 캠퍼스 학습 환경이 대학생의 행동과 학습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이러한 탐구는 물리적 환경과 캠퍼스 건축 공간의 개선을 통해 대학생의 학습 상태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경 행동을 기초로 분석하여 향후 환경 교육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도서관 환경과 학습 참여도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춥니다. 대학 도서관 환경과 학생들의 상호작용, 대학생들의 학습 참여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전문 분야를 매개 변수로 도입하고 다양한 학문적 속성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도서관 환경 최적화 설계 및 시공의 개선에 유용한 정보와 전략적 제언을 제공합니다.

연구 가설 및 이론적 모델

학교 문화, 학생의 사회적 및 생리적 특성, 학습 방법, 환경 등 많은 요인이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칩니다. 일부 학자들은 개인적 요인 외에도 환경적 요인이 학습 참여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습니다(Fredricks et al., 2004). 환경 행동의 이론적 틀에 기반한 연구에 따르면 환경마다 다른 심리적 상태와 행동 특성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Hernoff 외., 2014). 대학생은 특정 인구통계학적 그룹으로서 캠퍼스 환경이 학습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더 취약한 경우가 많습니다(Edinger, 2019; Wu 외, 2020; Mannerström 외, 2019). 예를 들어, 대학 캠퍼스 환경의 생물친화적 건축 요소가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의 학습 주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Blumenfeld et al., 2006). 물리적 학습 환경은 학생들의 학습에 큰 영향을 미치며 학생들의 참여 가능성을 높입니다(Baafi, 2020; Asiyai, 2014). 물리적이고 개방적이며 유연한 학습 공간인 대학 도서관은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심 공간으로 발전해 왔습니다(Scott-Webber 외., 2018). 미적으로 쾌적하고 소음이 적으며 안전한 건축 환경에 있는 학생들은 학습 만족도가 향상되고(Flutter, 2006),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교육 과정에 참여하려는 의지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건축 환경은 학습 동기와 주의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Asiyai, 2014; Bachman &Bachman, 2011), 학생들의 학습 참여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Oliveras-Ortiz et al., 2019). 동시에 도서관은 몰입적 성찰과 탐구를 위한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학습 공간을 제공하여 추상적 사고로의 전환을 촉진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캠퍼스 내 학습 환경이 학생들의 지식 추구와 학습 참여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Shernoff, 2013; Karol &Mackintosh, 2011; Bachman &Bachman, 2011). 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가설 1을 제안합니다.

가설 1: 대학 도서관 환경은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시 학습 참여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대학 도서관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요 학습 공간일 뿐만 아니라(Widemalm, 2016), 학생들 간의 쌍방향 소통과 협업을 위한 연결고리로 발전해 왔습니다(Bodnar, 2009). 대학 도서관은 학생들 간의 열린 대화와 협업 학습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제공하여 긍정적인 대인 관계의 발달을 촉진하고 대인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향상시키며 정서적 참여를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자율성을 강화하고 학습 상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Acker &Miller, 2005; Oblinger, 2004). Baker 등(2007)은 학술 도서관을 교실의 확장으로 간주했습니다. 이 공간은 협력적이고 상호 작용적인 학습을 촉진합니다. 이들은 ‘진지한’ 학습과 협력적인 사회적 학습을 결합하여 전통적인 교실 밖에서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새로운 학습 문화를 지원하는 환경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습니다(Hunley &Schaller, 2009). 도서관은 학습 공용 공간, 그룹 스터디룸, 개방형 학습 공간, 아늑한 카페 등 다양한 학습 또는 협업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하고 공유 가능한 학습 환경을 조성합니다(Thomas et al., 2015). 도서관의 이러한 새로운 협업 공간은 학생들이 전통적인 교실에서보다 더 많은 동료들과 교류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소통하고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높여줍니다(Kim &Son, 2021; Lu et al., 2020). 따라서 점점 더 많은 학자들이 도서관을 중요한 학습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뿐만 아니라 학문적 교류와 학생 상호 작용을 지원하는 공공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도서관은 긍정적인 전반적인 학습 환경과 친근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습니다(Birdsall, 2010; Thomas et al., 2015). 환경적 요인은 학생들의 학습 및 상호작용 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가설 2를 제안합니다.

가설 2: 대학 도서관 환경은 자기 주도적 학습 중 학생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학생 상호 작용은 감정 표현, 열린 의사소통, 팀 응집력에 기여합니다(Miao 외., 2022). Macpherson(2015)은 학생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정보를 공유하고,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심층적인 아이디어를 육성하고,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 학습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Cole 외., 2021; Quadir 외., 2022). 또한, 학자들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된 정서적 동기가 꾸준한 학업 노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학생들 간의 사고 공유와 협력적 사고는 사회적 응집력을 높이고 학습 동기를 유지하며 인지적 학습 과제에 참여하게 합니다(Spector &Kim, 2014). 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가설 3을 제안합니다.

가설 3: 학생의 상호작용 행동은 자기 주도 학습 중 학생의 학습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앞서 가설 1-3에서 제안한 것처럼 도서관 환경은 대학생의 상호작용과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Acker &Miller, 2005; Oblinger, 2004). 동시에 상호작용 행동은 대학생의 학습 참여 상태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Manwaring, 2017; Cole 외., 2021; Quadir 외., 2022). 이 세 가지 요소 간의 암묵적인 관계는 도서관이 학생들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촉진하여 결과적으로 대학생의 학습 참여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개 경로의 존재를 시사합니다. 이는 상호 작용과 협업을 장려하는 지원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습니다. 학생 상호 작용은 도서관 환경이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다리 역할을 합니다.

도서관은 학습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학습 공간을 제공하고 학생 상호 작용,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을 위한 매개체로서 기능합니다(Bodnar, 2009). 동시에 학생 상호 작용의 행동 특성은 학생의 학습 참여 정도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Wang, 2009). 연구에 따르면 학생 상호 작용은 학업 협업과 과목 이해를 촉진하고 지원적인 학업 커뮤니티를 구축하여 학생의 학습 참여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고 합니다. 이는 학생의 학습을 촉진하고 특히 대학생에게 중요한 소속감과 공동체 의식을 키워줍니다(Matthews 외., 2011; Montgomery, 2014). Yi 등(2022)과 같은 학자들은 개인의 학습 행동, 상호작용 행동, 소셜 네트워크 속성이 학습 참여 모델의 틀을 형성한다고 제안합니다. 학생 상호 작용이 증가하면 학습자에게 상당한 동기를 부여하고 안내하여 학습 참여도를 크게 향상시킵니다(Montgomery, 2014; Luan et al., 2020). 학습자가 더 많은 학습 동료와 연결될수록 학습 참여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Yi et al., 2022).

위의 분석을 통해 기존 문헌과 관련 이론은 도서관 환경이 학생 상호작용을 통해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경로를 지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설 4를 제안합니다.

가설 4: 대학 도서관 환경이 자기 주도 학습 중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의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매개됩니다.

학문적 특성, 직업적 지향, 인지적 틀, 학습 패턴(허정 외, 2014) 측면에서 이공계와 인문계 전공 학생들 간의 차이는 학습 환경, 학생 상호작용, 학습 참여에 대한 요구사항에 상당한 차이를 초래합니다(Kuh, Gonyea(2003); Thomas 외, 2015; Hu &Zhang, 2015; Stewart, 2021; Ko &Song, 2022). 이러한 차이는 또한 건축 공간 환경이 과학 및 인문학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과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뚜렷한 경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계의 복잡성과 이과 학생과 문과 학생 간의 차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재함에도 불구하고 일부 학자들은 관련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예를 들어, 슈용, 피셔(2011)의 연구에 따르면 학생 간 상호작용이 과학 전공자의 학습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arrell 등(2009)은 체육, 외국어 등 인문학 분야에서는 학생 상호작용이 학습 상태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가설 5를 제안합니다.

가설 5: 도서관 환경이 대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 중 학생 상호작용과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인문학과 과학의 전공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연구 방법 및 검증

연구 모집단

설문조사는 2021년 10월 1일부터 2022년 1월 30일까지 대학교 학술위원회의 감독 하에 실시되었으며, 각 대학생이 자발적으로 설문지 작성에 참여하여 중국 대학의 전반적인 관련 데이터를 확보했습니다. 조사 당시에는 집중 발병이나 집중 발생이 없었으며 대부분의 국가가 전염병의 정기 관리 단계에있었습니다. 따라서 표본에 포함된 모든 학생은 전염병 예방 및 통제가 정상화된 지역에 있었고 대학 캠퍼스 내 수업이 정상적으로 재개되었습니다. 참여 학생들은 도서관 환경, 학생 상호 작용 및 대학생의 교육 참여 사이의 관계를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도서관 환경 평가, 학습 참여 및 동료 상호 작용 상태에 관한 자세한 질문에 응답하도록 요청 받았습니다.

더 나은 표본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학교 단위의 표본 추출 과정에서 다각적인 접근 방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대학의 지리적 위치, 캠퍼스 규모, 대학 유형, 건축물의 다양성 등 다양한 기준이 고려되었습니다. 목표는 다양한 캠퍼스 유형을 포괄하는 것이었습니다. 동시에 데이터 수집의 타당성을 유지하면서 최종적으로 총 45개 대학이 설문조사 대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이 대학들은 14개 성, 3개 직할시, 4개 자치구에 걸쳐 있습니다(그림 1).

그림 1은 34개 대학이 위치한 주를 나타냅니다.

그림 1: 샘플 분포도.

전체 크기 이미지

학생 표본을 더 잘 대표하기 위해 학생 수준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처음에는 중국 교육부 및 기타 관련 출처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국 대학생의 인구 구조에 최대한 가깝게 대학생을 선정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예를 들어,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매년 약 60만 명의 등록 학생이 증가하는 등 중국 고등 교육 기관의 학부 등록이 확대되는 추세를 관찰했습니다(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의 2018년 교육 통계). 그 결과 샘플에는 더 많은 전문대학생과 더 적은 고등대학생이 포함되었습니다. 또한 2021년 교육부 데이터에 따르면 전국 학생 인구 중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약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과별로는 이과 학생과 문과 학생의 입학 비율은 성별로 차이가 있지만, 전국적으로 이과 학생 수가 문과 학생 수보다 약 3:1의 비율로 훨씬 많습니다(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 2021 교육 통계). 최종 설문조사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분포(표 1)를 보면, 설문조사 표본이 다양한 학생 집단을 포괄하는 무작위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중국 대학생의 전체 인구 구조와 밀접하게 일치합니다. 따라서 최종 유효 표본은 1060명에 불과하지만 비교적 대표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1 샘플 인구 통계.

전체 크기 표

또한, 설문조사 샘플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몇 가지 효과적인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예를 들어, 설문조사 웹사이트에 비밀번호와 로그인 자격 증명을 사용하여 보안을 강화하여 필요한 비밀번호 없이는 접속할 수 없도록 했습니다. 또한 보상을 받을 목적으로 무작위로 또는 정직하지 않은 답변을 제출하는 유효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거했습니다. 이러한 구체적인 조치에는 설문 접근 제한 시행, 설문 항목의 세심한 작성, 실명 추첨 시스템 도입, 중복 IP 주소 선별, 설문 최소 완료 시간 설정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제한 및 필터링 조치를 적용함으로써 수집된 데이터의 무결성과 품질을 보장할 수 있었습니다.

측정

종속 변수: 대학생의 학습 참여도

학습 참여도는 학습 과정 중 개인의 긍정적이고 집중적인 태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학습의 효과와 질을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표이자 핵심 요소입니다(Kop 외, 2011; Parsons &Taylor, 2011; Tatiana 외, 2022; Mizani 외, 2022). 학습 참여도는 학습 과정에서 학습 자료에 대한 개인의 사고, 분석 및 이해의 깊이를 반영합니다. 또한 학습 과정 중 학습 과제에 대한 정서적 반응, 경험, 감정 상태도 포함됩니다(Jiang, 2014; Ferrer 외, 2022; Fredricks 외, 2004). 또한 학습 과제에 대한 주도성, 자기 규율, 끈기, 적극적인 참여 및 노력을 나타내는 학습 중 행동 성과와 동기 부여를 포함합니다(Liu et al., 2020; Ravindran et al.,(2005); Axelson &Flick, 2010). 학자들은 학습 참여도를 평가하기 위해 주로 콘텐츠 분석과 설문조사를 사용해 왔습니다(Li et al., 2019; Zhu et al., 2005; Li &Huang, 2010). 학습 참여도에 대한 연구는 Fang 등(2008)이 개발한 UWES-S라는 척도를 참조하여 평가했습니다. 이 척도는 대학생들이 학습 중에 경험할 수 있는 네 가지 긍정적인 상태, 즉 (1) 학습 중 활력을 느낀다, (2) 학습에 열정적이다, (3) 학습 중 시간이 빨리 지나간다고 지각한다, (4) 학습에 완전히 몰입했을 때 기쁨과 집중력을 경험하는 빈도를 평가하는 척도입니다. 참가자들은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 몰입도를 측정하고 이러한 긍정적인 감정의 빈도를 선택했습니다. 각 문항은 1점부터 5점까지의 점수 범위(1 = 전혀 그렇지 않다, 2 = 거의 그렇지 않다, 3 = 가끔 그렇다, 4 = 자주 그렇다, 5 = 항상 그렇다)에 해당합니다. 전체 학습 참여도 점수는 5점부터 25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 참여도가 높음을 나타냅니다.

독립 변수: 도서관 환경

본 연구에서 대학 도서관 환경은 대학생들이 도서관의 물리적 측면에 대해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과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도서관 환경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다(Zhang, 2019; Li et al., 2018; Peng et al., 2022). 기존 문헌에서 도서관 환경에 대한 논의는 온도, 조명, 음향과 같은 물리적 공간적 측면의 평가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Castilla et al., 2017; Li et al., 2018; Gómez-Cruz et al., 2020). 다른 연구에서는 학습 환경의 기능적 측면, 레이아웃, 시설, 공기질, 예술적 미학, 시각적 지각에 대한 평가를 강조합니다(Hin et al., 2018; da Graça et al., 2007; Fantuzzi et al., 1996). 과거의 평가 프레임워크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 도서관 환경에 대한 주관적 평가는 위치의 적절성, 기능의 완성도, 장비의 적절성, 조명의 적절성, 예술적 분위기 조성 여부, 사후 유지관리의 효과성 등 6가지 측면을 포함한다. 모든 문항은 1점부터 5점까지 ‘1 = 매우 불만족, 2 = 다소 불만족, 3 = 중립, 4 = 다소 만족, 5 = 매우 만족’의 척도로 평가되었으며, 도서관 환경 평가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서관 환경의 전체 점수는 5점부터 25점까지입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도서관 환경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응답자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더 나은 품질을 반영합니다.

매개 변수: 학생의 상호작용

학생 상호 작용은 학생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협업 및 상호 참여 과정을 의미합니다(Mahbuba, 2022). 학생 상호 작용을 통해 개인은 서로 배우고, 지원을 제공하고, 동기를 부여하여 지식 공유와 협업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학생들 간의 팀워크, 커뮤니케이션 기술 및 사회적 능력을 배양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Mahbuba, 2022; Webb, 1985; Zhu &Zhu, 2013). 학생 상호 작용은 내용과 형식 모두에서 다양성을 특징으로 하는 광범위한 개념입니다(Borokhovski et al., 2012). 일부 학자들은 학생 상호작용의 내용을 다양한 학습 또는 생활 공간에서 발생하는 학생 간의 사회적, 심리적 또는 정서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Isohätälä 외, 2020; Kaya 외, 2015; Borokhovski 외, 2012). 다른 학자들은 학생 상호 작용이 학업 및 훈육 상호 작용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한다고 주장합니다(Miao et al., 2022; Webb, 1983; Sher, 2009; Webb, 1985).

제어 변수

이 연구에서는 학력, 지출, 성별을 통제 변수로 개념 모델에 포함시켰으며, 학력은 1 = 신입생, 2 = 2학년, 3 = 3학년, 4 = 4학년입니다. 월 지출 항목 점수는 1에서 7까지로 1 = 1000위안 미만, 2 = 1000-2000위안, 3 = 2000-3000위안, 4 = 3000-5000위안, 5 = 5000-8000위안, 6 = 8000-12000위안, 7 = 12000위안 이상입니다. 성별은 2가지 범주형 변수로, 남성은 1, 여성은 2입니다.

통계 분석

본 연구는 개념 모형의 모든 측정 모형에 대한 다요인 검증 분석을 통해 도서관 환경, 학생의 상호작용, 대학생의 학습 참여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습니다. 그 결과 모든 측정 모형이 구성 신뢰도 0.6 이상, 평균 분산 추출 0.5 이상, 관찰 변수의 요인 부하 0.6 이상, 신뢰도 계수 0.36 이상의 기준을 충족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Fornell &Larcker, 1981). 지수를 사용한 모델 적합도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모델은 데이터에 잘 맞습니다(CFI >0.90, TLI >0.90, RMSER <0.08).

결과 분석

통계 설명

변수의 기술 통계는 표 2  나와 있습니다. 문과와 이과 전공 대학생의 개별 학습 참여도를 평가한 결과, 학습 참여도 총점은 평균 14.794점이었습니다. 구체적으로 문과 전공 학생의 평균 총점은 14.649점, 이과 전공 학생의 평균 총점은 14.833점이었습니다. 관찰된 모든 변수에서 이과 전공 학생이 문과 전공 학생에 비해 점수가 더 높았고 일반적으로 학습 참여도가 더 높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도서관 환경 인식에 대한 전체 평균 점수는 18.136점이었습니다. 인문계 학생의 평균 종합 점수는 18.812점인 반면, 이공계 학생의 평균 종합 점수는 17.961점이었습니다. 관찰된 모든 변수에서 문과 학생이 이과 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생 상호작용의 경우, 학생 상호작용의 평균값이 3점보다 높았습니다. 학생 상호작용의 평균 총점은 12.742점으로 문과 학생이 이과 학생보다 약간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통제 변수 중에서는 문과를 전공하는 1학년 학생과 이과를 전공하는 2학년 학생이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학생들의 월 지출액은 1000~2000위안 이상이며, 여학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2 변수 설명 통계.

전체 크기 표

표 3  그림  2  표본을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통합 결과를 보여줍니다. 총 효과의 관점에서 학년, 전공, 월 지출액, 성별을 통제한 결과, 학생들의 학습 참여도는 도서관 환경과 학생 간 상호작용 모두에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효과 값은 각각 0.320과 0.316으로 가설 1과 3을 지지합니다. 도서관 환경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효과값은 0.227로 가설 2를 뒷받침했습니다.

3 전체 샘플 모델의 총, 직접 및 간접 효과.

전체 크기 표

그림 2: 전체 샘플 모델에 대한 표준화된 경로 다이어그램.

figure 2

그림 2: 전체 샘플 모델에 대한 표준화된 경로 다이어그램.

전체 모델의 정규화 경로를 설명합니다.

전체 크기 이미지

도서관 환경이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경로에 매개 변수가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값은 0.072로, 도서관 환경이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학생들의 상호작용 빈도를 증가시켜야 한다는 가설 4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그룹 간 모델 차이 비교

전문 분야를 조절 변수로 사용하여 모델 경로를 비교했습니다. 결과 결과 계수는 동일한 P  <0.05로 설정되어 문과와 이과 대학생의 모델 경로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표  4, 그림  34  문과 및 이과 전공 대학생 표본을 기준으로 한 모델 적합 결과를 비교한 것입니다. 가설 5 역시 모델 결과 분석에 따라 채택되었습니다.

4 그룹별 모델 경로 비교.

전체 크기 표

그림 3: 주요 그룹별 표준화된 경로 다이어그램 비교.

그림 3: 주요 그룹별 표준화된 경로 다이어그램 비교.

문과와 이과 전공 학생 그룹을 대상으로 각각 모델의 영향력 경로를 소개했습니다.

전체 크기 이미지

그림 4: 주요 그룹별 표준화된 경로 다이어그램 비교.

그림 4: 주요 그룹별 표준화된 경로 다이어그램 비교.

문과와 이과 전공 학생 그룹을 대상으로 각각 모델의 영향력 경로를 소개했습니다.

전체 크기 이미지

인문계 학생의 학습 참여도는 도서관 환경과 학생 간 상호작용에 의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총 효과 값은 각각 0.329와 0.215로 나타났습니다. 도서관 환경이 인문계 학생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미하며, 그 효과값은 0.306이었습니다. 반면 간접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경로에서 매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동시에 도서관 환경은 인문대생과 학생들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도서관 환경이 인문대생의 학습 참여에 직접적이고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문계 학생들의 학습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려면 학생들의 상호작용 및 기타 요인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도서관 환경을 개선해야 합니다.

이공계 전공자의 학습 참여도는 도서관 환경과 학생 상호작용이 각각 0.315, 0.339의 총효과값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환경이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은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경로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값은 0.087로 나타났다. 동시에 도서관 환경은 대학생들의 상호작용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효과 편익 값은 0.255로 나타나 이공계 전공자들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 빈도를 높여 도서관 환경이 학습 참여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실현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논의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 환경,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 대학생의 학습 참여도, 문과와 이과 전공의 차이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탐구했습니다. 설문조사 결과 대학생의 학습 참여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으며, 이과 학생의 학습 참여도가 문과 학생보다 높았습니다. 그러나 이과 학생과 같은 과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 빈도는 대부분 문과 학생들보다 낮았습니다.

본 연구를 통해 환경이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확인되었지만(Lei, 2022; Fredricks 외, 2004), 선행 연구는 이러닝 환경이나 강의실 학습 환경이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더 초점을 맞추었습니다(El-Sayad 외, 2021; Yang 외, 2021; Kwon &Chung, 2018; Shernoff, 2013; Ayçiçek, Yanpar Yelken(2018)). 우리의 연구에 따르면 도서관과 같은 규모 있는 자율적 학습 환경이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논문에서 언급된 도서관 환경은 적절한 위치, 만족스러운 기능, 완벽한 장비, 적절한 조명, 예술적 분위기, 추후 보장 등 6가지 측면에서 평가되었습니다. 이 여섯 가지 측면에서 도서관 환경을 최적화하고 개선하면 학습 참여도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연구 결과 학생들의 상호작용이 대학생의 학습 참여를 크게 촉진한다는 사실도 확인되었습니다(Yang et al., 2021; Jie &Daniel, 2014; Lei, 2022). 또한 이 연구는 도서관 환경이 학생들의 상호작용이라는 매개 역할을 통해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즉, 도서관 환경의 질을 개선하면 대학생들 간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빈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대학생들의 학습 참여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서관 환경을 개선하고 학생들 간의 우호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하여 대학생들의 학습 참여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더 중요한 것은 도서관 환경이 전공이 다른 대학생들의 학습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했다는 점입니다. 인문계 학생의 경우, 도서관 환경의 우수성에 따라 학습 참여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대로 이공계 학생의 경우, 대학 도서관 환경이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강하게 매개되었습니다. 인문계 학생의 학습 참여에 대한 도서관 환경의 영향은 강력하고 직접적이며 학생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간섭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이공계 학생의 경우 도서관 환경이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들의 상호작용이라는 매개 역할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도서관 환경이 문과와 이과 전공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로가 다르기 때문에 대학생의 전반적인 학습몰입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전공학생의 요구를 고려해야 하며, 다양한 전공학생의 집단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대응과 정밀한 도서관 환경 거버넌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목표 의견과 전략이 제시되어야 합니다. 우선 도서관 환경 개선은 문과생과 이과생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잘 설계되고 적절하게 유지 관리되는 도서관 환경은 대학생들의 학습 참여를 촉진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편안하고 학습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의 스트레스를 완화하여 공부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하고 학습 참여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상대적으로 학습 참여도가 낮고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인문계 학생의 경우 도서관 환경이 학습 참여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영향은 학생들의 상호작용이나 다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직접적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부 인문계 학생은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읽기와 쓰기가 필요한 독립적인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과제는 독립적으로 작업하고 깊은 사고에 참여하도록 요구합니다(Entwistle, 2009). 상대적으로 조용하고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인문계 학생에게 더 적합할 수도 있습니다. 도서관은 이러한 유형의 학업에 이상적일 수 있으며, 인문계 학생들이 동료의 방해를 받지 않고 독서와 깊은 성찰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문과 학생에게는 자연과학 학생만큼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찰은 도서관 이용이 문과 학생들 사이에서 동료와의 실질적인 대화 빈도와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는 이전 연구(Kuh, Gonyea(2003))의 결과와도 일치합니다. 이는 도서관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인문계 학생들의 학습 참여도를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향후 도서관 환경 구축 및 변화 과정에서 관련 의사 결정권자와 환경 설계자는 도서관 환경에 대한 대학생의 요구 또는 관련 행동 특성에 특별한주의를 기울이고 환경의 미적 및 기능적 요구에주의를 기울이고보다 몰입감있는 학습 분위기를 조성해야합니다.

둘째, 도서관 환경 개선은 여러 측면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이과생의 경우 도서관의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사회적 환경도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칩니다. 대부분의 이과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더 많은 실험실 작업, 수학적 계산, 협력적 팀워크가 필요하기 때문에 그룹 기반 학습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허정 외, 2014). 실험 결과와 문제 해결을 위해 소통하고 토론해야 하는 경우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과 협업이 더욱 중요할 수 있습니다. 과학 학생들은 학습 참여를 높이기 위해 학생 간 상호작용에 더 많이 의존할 수 있으며, 이는 도서관 환경에서의 학습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학생 상호 작용의 역할이 도서관 환경이 학생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매개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합니다. 즉, 도서관 환경만으로는 과학과 학생들의 학습 참여도를 향상시키는 데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학생들 간의 우호적이고 생산적인 상호작용을 장려하는 긍정적인 사회적 환경을 조성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대학의 의사 결정권자와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교실 밖에서 서로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사교 행사, 스터디 그룹 및 과학 학생들 간의 협업과 소통을 촉진하는 기타 과외 활동을 조직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공동 작업 공간을 만들거나 그룹 작업을 촉진하는 기술을 통합하여 도서관의 디자인과 레이아웃을 최적화하여 사회적 상호 작용을 촉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여학생들은 여러 개의 의자와 화덕이 있는 도서관의 새로운 라운지 공간을 매우 좋아합니다. 이 공간은 휴식 시간 동안 친구들과 다시 만날 수 있는 모임 장소가 될 수 있습니다(DeLauer 외., 2022). 또한 긍정적인 사회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이공계 학생의 고유한 요구와 특성을 인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이과 학생들은 교과 과정의 기술적 측면에 더 집중할 수 있으며 특정 문제나 실험에 대한 협업을 장려하는 구조화된 그룹 프로젝트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학의 의사 결정권자와 교육자는 이공계 학생의 특정 요구 사항을 고려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 참여와 전반적인 성공을 더 잘 지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연구에는 여전히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첫째, 조사 범위와 표본의 크기가 모두 제한적입니다. 심층 조사를 위해 소수의 대학만 선정했기 때문에 이공계 학생의 표본이 문과계 학생보다 훨씬 많았습니다. 연구 결론이 중국 대학의 모든 도서관 환경을 대변할 수는 없으며 향후 더 많은 실증적 연구가 필요합니다. 둘째, 대학생 표본의 대표성을 더욱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과생 표본이 문과생 표본보다 훨씬 더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도서관 환경은 주관적 평가에 기반한 것이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주관적 환경 평가와 객관적 환경 평가 시스템을 결합하여 도서관 환경과 대학생의 학습 참여 간의 관계를 더 잘 탐색해야 합니다.

결론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국 대학생들의 학습 참여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과 전공 학생의 학습 참여도는 이과 전공 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따라서 문과 대학생의 학습 참여도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본 연구는 도서관 환경이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학생들의 상호작용이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도서관 환경의 매개 변수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더 중요한 점은 도서관 환경이 전공에 따라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다는 점입니다. 도서관 환경이 문과 전공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더 강력했고, 이과 전공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도서관 환경의 영향은 학생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더 강력하게 매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결론은 현재의 도서관 환경을 구축, 개선 및 활성화하기 위한 새로운 제안을 제시합니다. 대학생을 위한 사회적 생태계는 도서관 환경, 학생들의 상호 작용, 학습 참여 등 서로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다양한 전공을 가진 학생들의 학습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문과와 이과를 전공하는 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권장 사항과 전술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대학 의사 결정권자는 이공계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학생들의 상호 작용에 관심을 기울이고 도서관 환경을 개선하여 학생들의 상호 작용 기회와 빈도를 늘려 과학 전공자의 학습 참여도를 높여야 합니다. 동시에 대학은 인문학 전공자의 학습 참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도서관 환경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요약하면, 대학생의 학습 참여도를 높이려면 도서관 환경, 학생 간의 상호작용, 교수의 질과 방법, 학생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대학생에게 종합적이고 지원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더 나은 학습 성과를 달성하고 개인적, 직업적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중국 고등 교육의 교육 관행에 중요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데이터 가용성

기밀성 문제로 인해 현재 생성되거나 분석된 모든 데이터 세트는 포함된 정보가 연구 참여자의 프라이버시를 해칠 수 있으므로 공개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정당한 요청이 있을 경우 교신저자로부터 부득이한 사유가 없는 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References

  • Aarts H, Dijksterhuis A (2003) The silence of the library: environment, situational norm, and social behavior. J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84(1)
  • Abu-aisheh A, Grant L, Sumukadas N et al. (2016) Fostering engineering students engagement us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course learner agent object portfolios. Int J Eng Pedagog (iJEP) 6:45 ArticleGoogle Scholar
  • Acker SR, Miller MD (2005) Campus learning spaces: Investing in how students learn. Educause Center for Applied Research Bulletin
  • Asiyai R (2014) Students’ perception of the condition of their classroom phys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its impact on their learning and motivation. Coll Stud J 48(4):714–723 Google Scholar
  • Axelson R, Flick A (2010) Defining student engagement. Chang: Mag High Learn 43(1):38–43 ArticleGoogle Scholar
  • Ayçiçek B, Yanpar Yelken T (2018) The Effect of Flipped Classroom Model on Students’ Classroom Engagement in Teaching English. Int J Instr 11(2):385–398 Google Scholar
  • Baafi R (2020) School physical environment and student academic performance. Adv Phys Educ 10(02):121 ArticleGoogle Scholar
  • Bachman L, Bachman C (2011) A study of classroom response system clickers: Increasing student engagement and performance in a large undergraduate lecture class on architectural research. J Interact Learn Res 22(1):5–21 Google Scholar
  • Bailey D (2022) Interactivity during Covid-19: mediation of learner interactions on social presence and expected learning outcome within video conference EFL courses. J Comput Educ 9(2):291–313 ArticleGoogle Scholar
  • Baker NL, Rocklin T, Fleagle S (2007) Fostering learning through library spaces: The University of Iowa Libraries
  • Bandura A, Adams NE, Beyer J (1977) Cognitive processes mediating behavioral change. J Personal Soc Psychol 35(3):125–139 ArticleCASGoogle Scholar
  • Bennett S (2009) Libraries and learning: A history of paradigm change. Portal: Libraries Acad 9(2):181–197 ArticleGoogle Scholar
  • Bennett S, Agostinho S, Lockyer L (2015) Investigating university educators’ design thinking and the implications for design support tools. J Interact Media Educ 2016(1)
  • Birdsall WF (2010) Learning commons to communicative commons: Transforming the academic library. Coll Undergrad Libraries 17(2-3):234–247 ArticleGoogle Scholar
  • Blumenfeld P, Kempler T, Krajcik, J (2006) Motivation and cognitive engagement in learning environments (pp. 475–488)
  • Bodnar J (2009) Information and learning commons, faculty and student benefits. N. Libr World 110(9/10):403–409 ArticleGoogle Scholar
  • Bond M (2020) Facilitating student engagement through the flipped learning approach in K-12: A systematic review. Comput Educ 151:103819. https://doi.org/10.1016/j.compedu.2020.103819 ArticleGoogle Scholar
  • Borokhovski E, Tamim R, Bernard R et al. (2012) Are contextual and designed student–student interaction treatments equally effective in distance education? Distance Educ 33(3):311–329 ArticleGoogle Scholar
  • Brown M (2005) Learning spaces. In: Diana G, Oblinger, James L, Oblinger (Eds.). Educating the net generation. Louisville, CO: Educause, pp 121–1222
  • Carini R, Kuh G, Klein S (2006) Student engagement and student learning: Testing the linkages. Res High Educ 47(1):1–32 ArticleGoogle Scholar
  • Carmona-Halty M, Salanova M, Llorens S et al. (2021) Linking positive emotions and academic performance: The mediated role of academic psychological capital and academic engagement. Curr Psychol 40(6):2938–2947 ArticleGoogle Scholar
  • Carrell SE, Fullerton RL, West JE (2009) Does your cohort matter? Measuring peer effects in college achievement. J Labor Econ 27(3):439–464 ArticleGoogle Scholar
  • Castilla N, Llinares C, Bravo J et al. (2017) Subjective assessment of university classroom environment. Build Environ 122:72–81 ArticleGoogle Scholar
  • Catherine BM (2021) O’Donnell and Tuomey’s University Architecture: Informal Learning Spaces that Enhance User Engagement. Architect Cult 9(1):98–https://doi.org/10.1080/20507828.2020.1794711 ArticleGoogle Scholar
  • Chan DL, Wong GK (2012) If you build it, they will come: an intra-institutional user engagement process in the Learning Commons. 2012 Chinese Digital International Symposium on Publishing and Digital Libraries, CDPDL2012, Kunming, Yunnan, China
  • Chih-Ming C (2013) An intelligent mobile location-aware book recommendation system that enhances problem-based learning in libraries. Interact Learn Environ 21(5):469–https://doi.org/10.1080/10494820.2011.593525 ArticleGoogle Scholar
  • Cole A, Lennon L, Weber NL (2021) Student perceptions of online active learning practices and online learning climate predict online course engagement. Interact Learn Environ 29(5):866–https://doi.org/10.1080/10494820.2019.1619593 ArticleGoogle Scholar
  • DeLauer V, McGill-O’Rourke A, Hayes T et al. (2022) The impact of natural environments and biophilic design as supportive and nurturing spaces on a residential college campus. Cogent Soc Sci 8(1):2000570 PubMedPubMed CentralGoogle Scholar
  • Demas S (2005) From the ashes of Alexandria: What’s happening in the college library
  • Edinger EC (2019) Dörfi, söli, muesi? Widersprüchliche Environment-Behaviour-Settings in Hochschulbibliotheken. ABI Tech 39(1):9–22 ArticleGoogle Scholar
  • El-Sayad G, Md Saad NH, Thurasamy R (2021) How higher education students in Egypt perceived online learning engagement and satisfa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omput Educ 8:527–550 ArticleGoogle Scholar
  • Entwistle N (2009) Teaching for understanding at university: Deep approaches and distinctive ways of thinking. Palgrave Macmillan
  • Fang LT, Shi K, Zhang FH (2008) Research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student. Chin J Clin Psychol 16:618–620 Google Scholar
  • Fantuzzi G, Aggazzotti G, Righi E et al. (1996) Indoor air quality in the university libraries of Modena (Italy). Sci Total Environ 193(1):49–56 ArticleCASPubMed ADS Google Scholar
  • Ferrer J, Ringer A, Saville K et al. (2022) Students’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higher education: The importance of attitude to online learning. High Educ 83(2):317–https://doi.org/10.1007/s10734-020-00657-5 ArticleGoogle Scholar
  • Flutter J (2006) ‘This place could help you learn’: student participation in creating better school environments. Educ Rev 58(2):183–193 ArticleGoogle Scholar
  • Fornell C, Larcker D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 Mark Res 18(1):39–50 ArticleGoogle Scholar
  • Fredricks JA, Blumenfeld PC, Paris AH (2004) School engagement: Potential of the concept, state of the evidence. Rev Educ Res 74:59–https://doi.org/10.3102/00346543074001059 ArticleGoogle Scholar
  • Gifford R (2007) “Environmental psychology: Principles and practice.”. Optimal Books, Colville, WA Google Scholar
  • Gómez-Cruz ME, Harari-Betancourt V, Vergara-Mendoza G (2020) Quality indicators and user satisfaction in university libraries. J Acad Librariansh 46(6):102230 ArticleGoogle Scholar
  • da Graça V, Kowaltowski D, Petreche J (2007) An evaluation method for school building design at the preliminary phase with optimisation of aspects of environmental comfort for the school system of the State São Paulo in Brazil. Build Environ 42(2):984–999 ArticleGoogle Scholar
  • Hagaman JL, Reid R (2008) The effects of the paraphrasing strategy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t risk for failure in reading. Remedial Spec Educ 29(4):222–234 ArticleGoogle Scholar
  • Harbaugh AG, Cavanagh RF (2012) Associations between th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and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2: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Australi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Education (NJ1)
  • Heojeong Y, Kim J, Bang D (2014) Differences in epistemological beliefs and learning style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 students and relationship between epistemological beliefs and learning style. J Curric Educ 18(4):989–1009 Google Scholar
  • Hernoff DJ, Csikszentmihalyi M, Schneider B et al. (2014) Student Engagement in High School Classrooms from the Perspective of Flow Theory. In: Applications of Flow in Human Development and Education, Springer, Dordrecht. https://doi.org/10.1007/978-94-017-9094-9_24
  • Hin L, Fan L, Boysu W (2018) Impacts of library space on learning satisfaction-An empirical study of university library design in Guangzhou. China. The. J Acad Librariansh 44(6):724–737 ArticleGoogle Scholar
  • Hu J, Zhang M (2015)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Liberal Arts Graduate Student Learning Situation–A Case Study of the Tourism Management Major in Guangdong Province. High Educ Stud 5(2):1–9 Google Scholar
  • Hunley S, Schaller M (2009) Assessment the key to creating spaces that promote learning. Educ Rev 44:26–35 Google Scholar
  • Isohätälä J, Näykki P, Järvelä S (2020) Cognitive and socio-emotional interac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Exploring fluctuations in students’ participation. Scand J Educ Res 64(6):831–851 ArticleGoogle Scholar
  • Jiang XY (2014) Strengthening students’ cognitive input and improving teaching quality in universities. J Sci Educ (Zhongjian) 24:25–https://doi.org/10.16400/j.cnki.kjdkz.2014.12.091 ArticleGoogle Scholar
  • Jie L, Daniel C (2014) The effect of social interaction on learning engagement in a social networking environment. Interact Learn Environ 22(4):401–https://doi.org/10.1080/10494820.2012.680966 ArticleGoogle Scholar
  • Karol E, Mackintosh L (2011) Analysing the Lack of Student Engagement in the Sustainability Agenda: A Case Study in Teaching Architec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Learning 17(10)
  • Kaya C, Blake J, Chan F (2015) Peer-mediated interventions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ural disorders: A literature review. J Res Spec Educ Needs 15(2):120–129 ArticleGoogle Scholar
  • Kim H, Son D (2021) Effects of Learner-to-Learner Academic and Social-Emotional Interactions on Learning Engagement and Cooperative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Cooperative Learning. J Educ Sci 52(4):27–49 Google Scholar
  • Lekissa A, Hsiu-Ling C (2021) The influence of motivation on learning engagement: the mediating role of learning self-efficacy and self-monitoring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teract Learn Environ https://doi.org/10.1080/10494820.2021.1977962
  • Kop R, Fournier H, Mak J (2011) A pedagogy of abundance or a pedagogy to support human beings? Participant support on massive open online courses. Int Rev Res Open Distrib Learn 12(7):74–https://doi.org/10.19173/irrodl.v12i7.1041 ArticleGoogle Scholar
  • Kuh GD (2009) What student affairs professionals need to know about student engagement. Coll Stud Dev 50:683–https://doi.org/10.1353/csd.0.0099 ArticleGoogle Scholar
  • Kuh GD, Gonyea RM (2003) The role of the academic library in promoting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Coll Res Libraries 64(4):256–282 ArticleGoogle Scholar
  • Kwon KK, Chung HM (2018) An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learning engagement,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J Educ Technol 34(3):407–439 ArticleMathSciNetGoogle Scholar
  • Lei X (2022) The impact of emotion management ability on learning engagement of college students during COVID-19. Frontiers in Psychology, 13
  • Li L, Yang Y, Hao Y, Wang W (201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ment scale for college students’ English reading engagement. Foreign Lang Electron Teach 6:39–45 Google Scholar
  • Li LH, Wu F, Su B (2018) Impacts of library space on learning satisfaction–An empirical study of university library design in Guangzhou, China. The. J Acad Librariansh 44(6):724–737 ArticleGoogle Scholar
  • Li X, Huang R (2010) Revision report of the University Student Engagement Scale (UWES-S). Psychol Res 1:84–88 Google Scholar
  • Li Y, Lerner RM (2011) Trajectories of school engagement during adolescence: Implications for grades, depression, delinquency, and substance use. Dev Psychol 47:233–247 ArticlePubMedGoogle Scholar
  • Liu H, Yao M, Li R, Zhang L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learning engagement among Chinese adolescents. Educ Psychol 40(4):430–https://doi.org/10.1080/01443410.2019.161844 ArticleGoogle Scholar
  • Lu K, Shi Y, Li J et al. (2022) An investigation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and classroom preferences under the smart classroom environment. SN Comput Sci 3:205. https://doi.org/10.1007/s42979-022-01093-1 ArticleGoogle Scholar
  • Lu K, Yang H, Shi Y et al. (2020)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5E instructional model on college student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peer inter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In 2020 Ni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Educational Innovation through Technology 188–192
  • Luan L, Hong JC, Cao M et al. (2020) Exploring the role of online EFL learners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ir learning engagemen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https://doi.org/10.1080/10494820.2020.1855211
  • Ma G, Fu G (2021) Research on Influencing Factors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Based on SPSS24.0. 202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cience (EIMSS), Xi’an, China, 2021, pp 205-208, IEEE. https://doi.org/10.1109/EIMSS53851.2021.00051
  • Macpherson A (2015) Cooperative learning group activities for college courses. Kwantlen Polytechnic University
  • Mader S, Bry F (2019) Fun and engagement in lecture halls through social gamification. Int J Eng Pedagog (iJEP) 9:113 ArticleGoogle Scholar
  • Mahbuba R (2022) The role of student-student interaction in efl classrooms. Евразийский журнал социальных наук, философии и культуры 2(2):63–66 Google Scholar
  • Mannerström R, Muotka J, Salmela-Aro K (2019) Associations between identity processes and success in developmental tasks during the transition from emerging to young adulthood. J Youth Stud 22(9):1289–1307 ArticleGoogle Scholar
  • Manwaring KC (2017) Emotional and cognitive engagement in higher education classrooms. Brigham Young University
  • Massengale L, Piotrowski P, Savage D (2016) Identifying and articulating library connections to student success. Coll Res Libraries 77(2):227–235 ArticleGoogle Scholar
  • Matthews KE, Andrews V, Adams P (2011) Social learning spaces and student engagement. High Educ Res Dev 30:105–120 ArticleGoogle Scholar
  • Miao J, Chang J, Ma L (2022) Teacher–student interaction, student–student interaction and social presence: their impacts on learning engagement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J Genet Psychol 183(6):514–526 ArticlePubMedGoogle Scholar
  • Mizani H, Cahyadi A, Hendryadi H (2022) Loneliness, student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during emergency remote teaching during COVID-19: the role of the God locus of control. Humanit Soc Sci Commun 9:305 ArticlePubMedPubMed Central Google Scholar
  • Montgomery SE (2014) Library space assessment: User learning behaviors in the library. J Acad Librariansh 40(1):70–75 ArticleGoogle Scholar
  • Nitecki DA (2011) Space assessment as a venue for defining the academic library. Libr Q 81:27–59 ArticleGoogle Scholar
  • Oblinger D (2004) Leading the transition from classrooms to learning spaces. An NLII(National Learning Infrastructure Initiative) white paper
  • Oliveras-Ortiz Y, Bouillion DE, Asbury L (2019) Listening to high school students: Purposefully designed spaces and the impact on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 Parsons J, Taylor L (2011) Improving student engagement. Current issues in education 14(1)
  • Peng L, Wei W, Fan W et al. (2022) Student Experience and Satisfaction in Academic Libraries: A Comparative Study among Three Universities in Wuhan. Buildings 12(5):682 ArticleGoogle Scholar
  • Pintrich PR, De Groot, Elisabeth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 Educ Psychol 82(1):33–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ArticleGoogle Scholar
  • Poldin O, Valeeva D, Yudkevich M (2016) Which peers matter: How social ties affect peer-group effects. Res High Educ 57(4):448–468 ArticleGoogle Scholar
  • Puritat K (2019) Enhanced knowledge and engagement of students through the gamification concept of game elements. Int J Eng Pedagog (iJEP) 9:41 ArticleGoogle Scholar
  • Quadir B, Yang JC, Chen NS (2022) The effects of interaction types on learning outcomes in a blog-based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Interact Learn Environ 30(2):293–https://doi.org/10.1080/10494820.2019.1652835 ArticleGoogle Scholar
  • Ravindran B, Greene BA, DeBacker TK (2005) Predicting preservice teachers’ cognitive engagement with goals and epistemological beliefs. J Educ Res 98(4):222–https://doi.org/10.3200/JOER.98.4.222-233 ArticleGoogle Scholar
  • Rubin J (1975) What the “good language learner” can teach us. TESOL Q 9(1):41–51 ArticleGoogle Scholar
  • Salanova M, Llorens S, Cifre E et al. (2003) Perceived collective efficacy, subjective well-being and task performance among electronic work groups: An experimental study. Small Group Res 34(1):43–73 ArticleGoogle Scholar
  • Salmela-Aro K, Upadyaya K (2012) The school work engagement inventory: Energy, dedication and absorption (EDA). Eur J Psychol Assess 28:60–67 ArticleGoogle Scholar
  • Salmela-Aro K, Upadyaya K (2014) School burnout and engagement in the context of demands–resources model. Br J Educ Psychol 84:137–151 ArticlePubMedGoogle Scholar
  • Schultz PW, Kaiser FG (2012) Promoting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V. Murphy (Ed.), “Handbook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New York, NY: Routledge 575-600
  • Scott-Webber L, Konyndyk R, French R, French J (2018) Significant results. Space makes a difference increasing student academic engagement levels. Eur Sci J 14(16):1857–7881 Google Scholar
  • Sher A (2009) Assessing the relationship of student-instructor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 to student learning and satisfaction in web-base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J Interact Online Learn 8(2)
  • Shernoff DJ (2013) Optimal learning environments to promote student engagement
  • Shwu-yong LH, Fisher DL (2011) Associations of the university learning environment with academic engagement and satisfaction among science majors in Taiwan. Asia-Pac Educ Res 20(2):1–1 Google Scholar
  • Spector JM, Kim C (2014) Technologies for intentional learning: Beyond a cognitive perspective. Aust J Educ 58(1):9–https://doi.org/10.1177/0004944113517828 ArticleGoogle Scholar
  • Stewart J (2021) Understanding the Impact of Faculty Mentorship on Student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Experiential Learning Within the Sports Management Curriculum: A Phenomenological Study
  • Sze-yeng F, Hussain RMR (2010) Self-directed learning in a socio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Procedia Soc Behav Sci 9:1913–1917 ArticleGoogle Scholar
  • Tatiana B, Kobicheva A, Tokareva E (2022)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sychological security level, academic engagement and performance variables in the digital educational environment. Educ Inf Technol 27:9385–9399 ArticleGoogle Scholar
  • Thaler RH, Sunstein CR (2008) Nudge: Improving decisions about health, wealth, and happiness.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CT Google Scholar
  • Thomas B, Van HS, Jacobson W et al. (2015) The design and assessment of the Learning Commons at the University of Iowa. J Acad Librariansh 41(6):804–813 ArticleGoogle Scholar
  • Trowler V (2010) Student engagement literature review. High Educ Acad 11(1):1–15 Google Scholar
  • Tuominen-Soini H, Salmela-Aro K (2014) School work engagement and burnout among Finnish high school students and young adults: Profles, progressions, and educational outcomes. Dev Psychol 50:649–662 ArticlePubMedGoogle Scholar
  • Ubon NA, Kimble C (2003) Supporting the creation of social presence in online learning communities using asynchronous text-based CMC. In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chno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pp 295–300
  • Wang L (2009) Social network analysis of virtual learning communities. China’s e-Learn 02:5– CNKI:SUN:ZDJY.0.2009-02-003 Google Scholar
  • Wang MT, Peck SC (2013) Adolescent educational success and mental health vary across school engagement profles. Dev Psychol 49:1266–1276 ArticlePubMedGoogle Scholar
  • Webb NM (1983) Predicting learning from student interaction: Defining the interaction variables. Educ Psychol 18(1):33–41 ArticleGoogle Scholar
  • Webb NM (1985) 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in small groups: A research summary. In Learning to cooperate, cooperating to learn (pp. 147-172)
  • Widemalm E (2016) Buildings for inspiration and learning: University libraries as study environments: A case study of Carolina Library, Frescati Library and Södertörn University Library
  • Wu D, Yu L, Yang T et al. (2020) The impacts of uncertainty stress on mental disorder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evidence from a nationwide study. Front Psychol 11:243 ArticlePubMedPubMed Central Google Scholar
  • Wu H, Li S, Zheng J et al. (2020) Medical students’ motiv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s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engagement. Med Educ Online 25(1):1742964 ArticlePubMedPubMed Central Google Scholar
  • Xie K, Vongkulluksn VW, Lu L et al. (2020) A person-centered approach to examining high-school students’ motivation, engage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Contemp Educ Psychol 62:101877. https://doi.org/10.1016/j.cedpsych.2020.101877 ArticleGoogle Scholar
  • Yang J, Peng MY, Wong S et al. (2021) How E-learning environmental stimuli influence determinates of learning engagement in the context of COVID-19? SOR model perspective
  • Yi X, Zhan Z, Ma S (2022) An evaluation model of MOOC learning engagement based on learning behavior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In 2022 IEE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al Technology (ICET) (pp. 165–169). IEEE
  • Zhang Z (2019) The effect of library indoor environments on occupant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Chinese universities using SEMs. Build Environ 150:322–329 ArticleGoogle Scholar
  • Zhao H, Xiong J, Zhang Z et al. (2021) Growth mindset and college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serial mediation model. Front Psychol 12:621094 ArticlePubMedPubMed Central Google Scholar
  • Zhu Z, Wang J, Zhang W, Ye Q (2005) Construction of the scale for college students’ autonomous learning. Psychol Dev Educ 21(3):60–65 CASGoogle Scholar
  • Zhu H, Zhu Y (2013) A discussion on the flipped classroom and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strategies (Doctoral dissertation)

저자 및 소속

College of Communication and Art Design, University of Shanghai for Science and Technology, No.516 Jungong Road, Shanghai, 200093, China

Zhenhua Zheng, Min Zeng, Wenya Huang & Ning Sun


출처 :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mmunications

0개의 댓글

댓글 제출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