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도서관연맹(IFLA) 환경·지속가능성·도서관 분과(ENSULIB)는 ‘IFLA 그린 라이브러리 어워드 2025’ 수상자를 발표했다. 이 상은 2016년 ENSULIB 특별분과(SIG)가 제정했으며, 올해 시상은 라이브러리 주스 아카데미(Library Juice Academy)와 데 그루이터 출판사(De Gruyter Publishing)가 후원했다.
이번 시상은 2025년 8월 19일 아스타나에서 열린 국제도서관연맹(IFLA) 세계총회에서 진행됐다.
‘IFLA 그린 라이브러리/대규모 프로젝트 어워드 2025’ 수상자
1위: 제임스 볼드윈 도서관(James Baldwin Library), 프랑스 파리
“제임스 볼드윈 도서관: 지속가능한 프로젝트 속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파리 19구에 위치한 제임스 볼드윈 도서관(James Baldwin Library)은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도시 재생의 모범 사례로 꼽힌다. 이 도서관은 난민 주거 시설(Refugees Home)과 함께 쓰는 하이브리드 친환경 건물에 자리 잡아 지역사회의 활기찬 거점으로 기능한다. 도서관은 회복적 정의를 실현하고 난민을 비롯한 사회적 소외 집단을 지원한다.
건물은 녹색 지붕, 태양광 패널, 바이오 기반 자재 등 친환경 설계를 적용했으며, E+/C–와 Rénovation BBCA와 같은 친환경 인증을 받았다. 또한 청각장애인, LGBTQIA+를 포함한 다양한 이용자를 위한 포용적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에마위스(Emmaüs), 싱가(Singa) 등 단체와 협력하고 있다. 아직 운영 면에서 개선할 여지는 있지만, 이 도서관은 저탄소 설계와 사회적 연대를 결합한 대표적 사례로 평가된다.
2위: 선전 옌톈 도서관(Shenzhen Yantian Library), 중국 광둥성
“성장 도서관: 경계 없는 독서, 지속가능성과 함께하는 성장”
중국 광둥성 선전 옌톈구에 위치한 ‘성장 도서관(Growth Library)’은 2024년 완커 그룹(Vanke Group)의 옛 본사를 리모델링해 조성된 지속가능한 문화 거점이다. 전체 면적은 12만㎡에 달하며, 에너지의 85%를 친환경 에너지로 충당하고 기존 대비 60%의 에너지를 절감한다. 도서관은 18만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97%가 디지털 자료다. 상시 거주민 2만 명을 지원할 뿐 아니라, 매년 2천만 명 이상이 방문한다.
2024년 한 해 동안 150건이 넘는 친환경 주제 행사를 열었으며, ‘옌톈 이니셔티브(Yantian Initiative)’를 통해 141개 도시에 걸쳐 2,721개 도서관을 하나로 묶어 ‘4E 행동 계획’을 추진했다. 강력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이 도서관은 녹색 공동체와 도서관 전환의 선구적이면서도 확산 가능한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3위: 내슈빌 공공도서관 도널슨 분관(Nashville Public Library, Donelson Branch), 미국 테네시주
“레트로의 뿌리, 그린 미래: 지속가능성을 담은 미드센추리 걸작”
2024년 6월 문을 연 내슈빌 공공도서관 도널슨 분관(Nashville Public Library, Donelson Branch)은 재생된 도널슨 플라자(Donelson Plaza)의 중심에서 지속가능하고 공정한 개발의 모델로 자리 잡았다. 건물은 지열 교환 시스템과 태양광 패널, 재활용 자재를 적용해 LEED 골드 인증을 획득했다. 도서관 내부에는 지속가능성 전시벽을 설치하고, 토종 벌 기르기나 식품 나눔 활동 같은 워크숍을 운영해 친환경 설계와 시민 교육을 결합했다.
‘사물 도서관(Library of Things)’이나 ‘수리 마당(Repair Fairs)’ 같은 프로그램은 재사용과 경제적 접근성을 촉진한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연계와 대중교통 접근성을 바탕으로, 도널슨 분관은 도서관이 환경적·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주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IFLA 그린 라이브러리 프로젝트 어워드 2025’ 수상자
1위: 탐마삿 대학교 도서관(Thammasat University Library), 태국 방콕
“폐기물에서 자원으로: 순환경제를 통한 그린 라이브러리”
태국 방콕의 탐마삿 대학교 도서관(Thammasat University Library)이 추진한 ‘폐기물에서 자원으로(From Waste to Wealth)’ 프로젝트는 도서관이 어떻게 순환경제 원칙을 적용해 지속가능성 학습의 거점이 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 프로젝트는 환경 교육, 업사이클링 워크숍, 친환경 소비, 자크 리워드 테크놀로지(Jak Reward Technology)를 활용한 실시간 영향 추적 등 여섯 가지 혁신적 프로그램으로 운영된다.
그 결과 6,000kg이 넘는 재활용 폐기물을 새 자원으로 전환했고, 20,000kg 이상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였다. 지역사회와 기관의 긴밀한 협력을 기반으로, 프로젝트는 측정 가능한 환경적·사회적 성과를 드러내며 지속가능한 습관과 인식을 확산시켰다. 이러한 총체적 접근은 지속가능성과 변혁적 학습을 지향하는 도서관들이 참고할 수 있는 확산 가능한 모델로 평가된다.
2위: 메종 드 랑비롱느(Maison de l’Environnement), 프랑스 리옹
“읽고 행동하기(Lire pour Agir): 사회생태 전환 도서상”
프랑스 리옹의 메종 드 랑비롱느(Maison de l’Environnement) 도서관은 문학과 환경 행동을 결합해 생태 의식을 고취하고 문화적 참여를 촉진하는 데 성공했다. 대표 프로그램인 ‘읽고 행동하기(Lire pour Agir)’ 상은 단순한 인기 여부가 아니라 환경적 실천을 이끌어낼 수 있는 힘을 기준으로 사회생태 전환 도서를 선정해 시상한다. 매년 만화 두 권, 소설 두 권, 에세이 두 권 등 여섯 권의 다양한 도서를 뽑아 도서관과 협력 기관에 전시한다.
또한 저자 초청 행사, 워크숍, 참여형 자료 제공을 통해 리옹 광역권 전체에 공유된 환경 문화를 확산시킨다. 포용적 프로그램 운영, 친환경적 설계,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이 도서관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문화적 리더십의 모범을 보여주고 있다.
3위: 마누엘 비에가스 게헤이루 재단(Manuel Viegas Guerreiro Foundation), 포르투갈 롤레
“우리의 공동의 집, 케렌사(Querença) 어린 자연주의자들의 마음”
2020년 롤레 시의회(Loulé City Council)와 협력해 설립된 ‘우리의 공동의 집(Our Common Home)’은 마누엘 고메스 게헤이루(Manuel Gomes Guerreiro) 생태·식물학 산책로에서 영감을 얻은 아동 도서관이다. 이곳은 아이들이 생물다양성을 알고, 창조하며, 돌볼 수 있도록 이끄는 책을 자유롭게 제공하며 환경 의식을 키운다.
프로젝트에는 ‘케렌사의 어린 자연주의자들(Little Naturalists of Querença)’과 ‘벤-케렌사 독자들(Bem-Querença Readers)’ 같은 프로그램이 포함돼 있으며, 동물 매개 독서 활동을 통해 문해력 향상을 지원한다. 지역사회 협력을 바탕으로 호기심, 책임감, 회복력을 기르며 지역 학교를 지속적으로 뒷받침하고, 아이들이 자연과 문화 속에서 조화롭게 살아가도록 영감을 준다.
특별상(Special Recognition Award) 2025
크로아티아 카를로바츠의 이반 고란 코바치치 공공도서관(Public Library “Ivan Goran Kovačić” Karlovac)
“그린 페스티벌 – 카를로바츠의 녹색 이야기(Karlovac Green Story)”
크로아티아 카를로바츠의 이반 고란 코바치치 공공도서관(Public Library “Ivan Goran Kovačić” Karlovac)은 지역 농산물 행사와 3,600개가 넘는 병을 수거한 재활용 프로그램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전문가를 연결하며 환경 의식을 높이고 있다. 도서관은 녹색 지붕과 설치 예정인 태양광 패널 같은 지속가능한 인프라를 갖추며 친환경적 운영을 실천한다.
특히 6년째 이어온 연례 ‘그린 페스티벌(Green Festival)’은 강연에서 농산물 장터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지역 주민의 참여를 이끌고 있다. 전자 홍보와 야외 공간 활용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강화했으며, 점차 세계적 영향력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비용 효율적이면서도 확산 가능한 모델로서, 장기적인 환경적·사회적 변화를 견인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출처 : www.ifla.or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