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에게서 영감을 받다
2년 전 처음으로, 시립도서관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이러한 장소에 대해 물은 바 있다. 이는 도서관 이름의 주인공이자 작가인 브리기테 라이만(Brigitte Reimann)의 90번째 생일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 당시에도 키스 지도에는 이미 여러 개의 항목이 등록되었다고 도서관장 마야 코스(Maja Kos)는 전했다. 그런데 작가와 키스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마야 코스의 설명에 따르면, 브리기테 라이만은 “호이어스베르다에서도 키스를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한 에세이에서 던진 적이 있다. 그 시기는 1963년이었다고 한다.
호이어스베르다(Hoyerswerda)의 엘스터(Elster) 강가: 첫 키스를 나누기 좋은 아늑한 장소.

곤델 연못(Gondelteich)도 키스 지도에 포함되어 있다.

블라이히개스헨(Bleichgässchen) 옆의 작은 공원도 “…하기에 멋진 장소”라고 적혀 있다. 그렇게 시립도서관의 키스 지도에 표시되어 있다.

호이어스베르다(Hoyerswerda) 인근의 샤이베 호수(Scheibesee)도 키스하기에 안성맞춤인 장소다.
당시의 비판: 계획된 도시에서 키스할 수 있을까?
마야 코스(Maja Kos)는 이 질문이 당시에 작가의 진지하고 비판적인 시각에서 나온 것이었다고 말한다. 브리기테 라이만(Brigitte Reimann)은 사회주의 계획도시에서 편안한 분위기와 사적인 공간의 부재를 지적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즉, 이런 건축 속에서 사람들의 친밀함과 안락함을 위한 공간이 어디에 존재할 수 있는지를 문제 삼은 것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도서관은 그 질문을 다시 떠올리게 되었고, 60년이 지난 지금 다시 한 번 사람들에게 같은 질문을 던졌다. 이번 행사는 7월 26일까지 계속되는 ‘브리기테 라이만 주간(Brigitte-Reimann-Woche)’을 계기로 진행되고 있다.키스에 대한 질문은 하나의 상징과도 같았다. 이 계획도시 호이어스베르다(Hoyerswerda) 안에 과연 사적인 공간, 친밀함을 위한 장소, 그리고 이 건축 속에서 안락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있었을까? – 마야 코스(Maja Kos), 브리기테-라이만 도서관 관장

호이어스베르다(Hoyerswerda) 시립도서관에서는 8월 말까지 직접 종이지도에 키스하기 좋아하는 장소를 키스 지도에 표시할 수도 있다.
출처 : www.mdr.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