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연구
도서관에 대한 일반연구, 도서관 디자인씽킹, 도서관 공간디자인 등에 관련된 연구보고서, 논문, 기사, 자료를 발굴 게재하여 업무나 연구에 도움을 드립니다.
![[디자인씽킹] 교육에서 디자인 씽킹의 힘](https://library.re.kr/wp-content/uploads/2024/04/The-power-of-design-thinking-in-education-1080x630.jpg)
[디자인씽킹] 교육에서 디자인 씽킹의 힘
디자인 씽킹은 역사상 한순간 유행한 교육적 유행어가 아니라 학생들이 복잡한 학제 간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사고방식을 갖추도록 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빅토리아 교사 및 리더십 아카데미의 기술...

루이지애나 어린이 박물관 브랜딩 및 사이니지
최근에 사용자와 함께 할 수 있는 디자인에 대한 사례를 요청한 기관이 있었습니다. 그 때 이 루이지애나 어린이 박물관의 사례를 소개해주었습니다. '도서관을 위한 디자인씽킹', '사용자 참여 디자인' 등에 대해...

미국 도서관에서 도서 대출이 금지되는 경우
Glenn C. Altschuler, David Wippman 지난 한 해 동안 미국 도서관에서 이렇게 많은 책이 제거된 적은 없었습니다. 대부분은 인종과 성적 취향에 관한 책입니다. 많은 미국인들은 이것이...

유연한 가구는 교사와 학생에게 더 많은 협업 기회를 제공
오늘날 학생들의 학습 방식을 반영하듯 전통적인 도서관은 사라지고 미디어 센터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예전의 전통적인 도서관이 아닙니다: 세바스찬 리버 고등학교(Sebastian River High...
홈라이브러리는 어린이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충분한 책이 있는 집에서 자라는 것만으로도 성인 문해력과 수학 능력이 향상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요약 최소 80권의 책이 있는 가정에서 자라는...
Design Thinking for Libraries At-a-Glance 한글판
Design Thinking for Libraries Toolkit은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의 공익재단 Bill & Melinda Gates...
도서관에서 UX 작업 : 어떻게 그리고 왜 하는가?
HCI연구에서 시작된 이용자경험(User eXperience, UX)은,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 서비스와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매우 유용한 개념이며,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도서관 공간에 대한 이용자 경험(UX) 연구
공간 사용 데이터 수집을 통한 도서관 공간의 UX 향상 사람들이 어디에 있고,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은 도서관 공간의 UX(User...
2017년 국민디자인단 과제 “폐교, 시민 힐링공간으로 다시 태어나다.”
국민디자인단은 정책 수요자인 국민, 서비스 디자이너와 공급자인 공무원이 정책과정 전반에 함께 참여하여 서비스디자인기법을 통해 공공서비스를 개발·발전시키는 국민참여형...
Marginalia의 순간: 필립 로스, 돈 델릴로, 그리고 책에 메모글을 남기는 즐거움
"Marginalia(마지널리아)"라는 단어는 라틴어 "marginalis"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가장자리(margin)에 있는"이라는 뜻을 가진 말이다. 영어로는...
도서관 건물 디자인은 이용자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
Can a Library Building's Design Cue New Behaviors? A Case Study 연구자 : M O'Kelly, L Scott-Webber, J...
Ethnographic을 통한 대학도서관 공간에 대한 연구
대개 좋은 도서관 공간은 높은 수준의 학습을 제공하려는 대학의 전반적인 목표에 기여합니다. 이 논문은 민속학(ethnographic)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그룹 학습과 협업을...
서비스 및 공간 설계 전략을 통한 조직 변화 촉진
미시간대학 도서관의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 얼마전 (2017년 12월 12일) Coalition for Networked Information(CNI) 회원미팅에서 발표된...
10 Technologies and Resources for Makerspaces
최근 도서관은 문화와 기술의 변화에 맞춰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티센터로 자리 매김하고 있습니다. 미국 도서관을 중심으로 최근의 경향 중 하나는 도서관내에...
서가에 ‘사진’만 수두룩…도서관 가짜 책 논란
우주선을 연상케 하는 실내 디자인과 총 120만권 보유 규모로 독서 애호가들의 시선을 끌었던 중국 톈진의 한 미래형 도서관이 광고 이미지와 달리 실제 서가에는 ‘가짜 책’이...
일본은 도서관을 ‘활기찬 지역 사회의 중심지’로 변화시키고있다
"지역사회를 위한 생동감있는 허브"는 최근에 도서관의 주문(呪文)이 되었습니다. 또한 이 말은 종종 도서관에서 기대하는 책의 역할이 줄어들었다는 것을 가리키는 문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