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우(SHAU)가 설계하고 인도네시아의 PT 카유 라피스 인도네시아(PT Kayu Lapis Indonesia)가 프리패브 방식으로 제작한 ‘와락 카유(Warak Kayu) 마이크로라이브러리’는 중부 자바 주 스마랑(Semarang)의 도시 경관에 새롭게 더해진 시설이다. 패시브 기후 설계를 중심으로 개발되었으며, 전면에 FSC 인증 목재만을 사용해 건축된 이 도서관은, 저소득 지역에서 독서를 장려할 뿐만 아니라, 목재 건축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교육 공간으로서의 기능도 함께 수행하고 있다.

기둥 위에 지어졌으며 밑에는 아이들을 끌어들이는 그네가 있는 다기능 공간이 있다. 모든 이미지 © KIE & team
와락 카유(Warak Kayu) 마이크로라이브러리는 스마랑 시 중심부에 위치한 공공 광장인 타만 카스마란(Taman Kasmaran)에 자리하고 있으며, 강을 사이에 두고 지역 관광 명소인 ‘무지개 마을(캄풍 펠랑기(Kampung Pelangi))’을 바라볼 수 있다. 이 광장에는 소규모 상점을 뜻하는 와룽(warung)이 입점한 카페테리아가 있으며, 인근에는 지역 학교도 있다. 샤우(SHAU)의 이번 설계는 시의 관광 루트에 포함되어 무료 버스 투어의 정차 지점이 될 예정으로, 이로 인해 건축물의 접근성과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도서관 열람 및 검색 공간, 확산 조명으로 인공 조명 없이도 공간을 쾌적하게 밝혀준다.
수차례에 걸친 설계 반복 끝에, 전통적인 ‘루마 팡궁(rumah panggung, 고상가옥)’처럼 건물을 전체적으로 들어 올리는 방식이 가장 적합한 콘셉트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이 도서관은 지역 주민과 공동체의 커뮤니티 센터 역할도 겸하게 되었으며, 동시에 인도네시아의 엔지니어드 우드 제품과 제조 기술을 홍보하는 공간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게 되었다.

계단 및 ‘룩스루’ 좌석 계단 구조 세부 모습
도서관을 들어 올림으로써, 다양한 공간 구성과 복합적인 프로그램, 그리고 폭넓은 활동이 가능해졌다. 지면에는 워크숍에 활용할 수 있는 넓은 반야외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입구에는 발표나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계단식 좌석이 넓게 조성되어 있다. 아이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나무 그네도 설치되었다. 이 지면 공간은 플랜터 박스가 원형으로 둘러싸고 있어 보다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위층의 도서관 내부에는 아이들이 누워서 쉬거나 책을 읽을 수 있는 그물망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아래 공간에 있는 부모나 친구들과 직접 소통할 수도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전면 입면은 투과성과 기능의 수평적 레이어링을 보여준다.
건물에 사용된 모든 목재 자재는 전면적으로 FSC 인증을 받은 것이다. 이는 기부자이자 발주처인 아르카타마 이스바라 재단(Arkatama Isvara Foundation)이 종합 목재 제조 기업인 PT 카유 라피스 인도네시아(PT Kayu Lapis Indonesia)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 공사에는 해당 기업이 보유한 다양한 건축용 자재와 제품이 폭넓게 활용되었으며, 기초, 지지대, 지붕 마감재를 제외하고는 모두 목재 기반 자재로 구성되어 있다.

입구와 도서관이 내려다보이는 인테리어
이번 설계 과정에는, 공장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자재를 먼저 검토한 뒤 이를 기반으로 설계를 발전시키는 ‘바텀업(bottom-up)’ 방식이 포함되었다. 설계 탐색 과정 중 하나의 결과로 탄생한 브리제 솔레이(brise soleil, 차양 구조물)는 1920년대 독일에서 개발된 ‘촐링거 바우바이제(Zollinger Bauweise)’라는 구조 시스템에 착안한 것이다. 이는 상호 지지 구조의 일종으로, 약간 어긋난 다이아몬드 형태의 독특한 패턴을 형성한다. 이 패턴은 마침 스마랑(Semarang)의 연례 축제에서 등장하는 용을 닮은 지역 신화 속 생물인 ‘와락 응엔다그(Warak Ngendog)’의 비늘과 유사하다.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어로 ‘나무로 만든 와락’을 뜻하는 ‘와락 카유(Warak Kayu)’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이는 설계 의도를 보다 널리 알릴 수 있는 긍정적인 서사로 작용하고 있다.

독서, 영화 감상, 프레젠테이션 청취 등을 위한 좌석 계단이 있는 입구
이 마이크로라이브러리는 패시브 기후 설계 요소를 중심으로 설계되었으며, 에어컨을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도 발생하지 않는다. 스마랑(Semarang)은 열대 몬순 기후로, 건기 말에는 기온이 섭씨 34도까지 오르기도 한다. 이 건물은 교차 환기를 통해 내부 온도를 낮추며, 차양 요소를 활용해 태양열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커튼으로 닫힌 실내
지붕의 돌출부는 정오 무렵 강한 햇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부지 제약으로 인해 건물의 긴 외벽은 북서쪽과 남동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었기 때문에, 오전과 오후의 낮은 태양 고도를 막기 위해 달걀 상자처럼 깊은 구조의 ‘졸링거 브리제 솔레이(Zollinger brise soleil)’가 설계되었다. 이로 인해 직사광선이 실내로 그대로 들어오는 일이 없으며, 대신 확산된 자연광만으로도 책을 읽기에 충분한 밝기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브리제 솔레이의 깊이는 태양의 이동 경로와 건물의 방향 사이의 각도 관계를 고려해 결정되었다. 교차 환기 설계는 건물 내부의 습기를 밖으로 배출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며, 책이 곰팡이나 손상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졸링거(zollinger) 구조의 브리제 솔레이(brise soleil) 레이어링 및 아침 시간 동안 닫힌 커튼
콘크리트 기초를 제외한 모든 목재 부재는 스마랑(Semarang)의 공장에서 사전 제작된 후, 20km 이내 거리의 현장으로 운송되었다. 공장에서의 프리패브 제작과 적시 납품, 현장 조립 방식은 시공 과정에서 소음과 먼지를 줄이고, 주변 환경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공사 기간도 단축시킨다. 또한 공장 프리패브 방식은 더 숙련된 작업자, 현대적인 도구, 더 높은 안전 기준 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 과정이 더욱 안전하고 정밀도도 높아진다. 그 결과 오류가 줄어들고, 그에 따라 발생하는 폐기물도 최소화된다.

입구의 클로즈업-목재, 커튼 및 식물 층이 아래쪽 영역을 구성
와락 카유(Warak Kayu) 마이크로라이브러리는 마이크로라이브러리 시리즈 중 다섯 번째로 완공된 프로젝트로, 환경을 고려한 설계와 자재를 바탕으로 저소득 지역에 다기능적인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독서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이니셔티브의 일환이다. 이 프로젝트는 지역사회, 민간 부문, 정부가 협력한 결과물로, 아르카타마 이스바라 재단(Arkatama Isvara Foundation)이 스마랑 시에 기증한 것이다. 마이크로라이브러리는 입장료 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스마랑에 뿌리내린 자선 단체인 하비 센터(Harvey Center)가 지방 정부와 협력하여 운영을 맡고 있다.

저녁 시간대 외관

도시 상황: 카페, 작은 상점, 공립학교, 버스 정류장 및 캄풍(마을 같은 구조물) 주거 지역이 근처에 있다.

건설 세부 정보
프로젝트 정보:
- 프로젝트명: 와락 카유 마이크로라이브러리(Warak Kayu Microlibrary)
- 클라이언트: 아르카타마 이스바라 재단(Arkatama Isvara Foundation) – 마이클 수탄토(Michael Sutanto), 예시카 레오니 수르야하르자(Yessica Leoni Suryaharja)
- 위치: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 스마랑(Semarang) 타만 카스마란(Taman Kasmaran)
- 위도: -6.990947, 경도: 110.406479
- 공사비: 75,000 미화달러
- 대지 면적: 약 10,764 제곱피트(약 1,000㎡)
- 건축 면적(풋프린트): 979.52 제곱피트(91㎡)
- 연면적(GFA): 1,959 제곱피트(182㎡)
- 건물 높이: 71.58피트(6.65m)
- 건축가: 샤우 인도네시아(SHAU Indonesia) – 플로리안 하인첼만(Florian Heinzelmann), 달리아나 수르야위나타(Daliana Suryawinata)
참여 팀: 리즈키 마울리드 수프라트만(Rizki Maulid Supratman), 무함마드 익산(Muhammad Ichsan), 알피안 레자 알마지드(Alfian Reza Almadjid), 물타잠 악바르 주나에디(Multazam Akbar Junaedi) - 구조 엔지니어: 조코 아구스 차투르 위보워(Joko Agus Catur Wibowo)
- 프리패브 제작: PT 카유 라피스 인도네시아(PT Kayu Lapis Indonesia) – 안드레 술리스티요 푸르노모(Andre Sulistyo Purnomo), 도동 부디잔토 푸르노모(Dodong Budijanto Purnomo), 요셉 바유 세티야완(Yosep Bayu Setiyawan)
- 시공사: RAH 컨트랙터(RAH Contractor)
- 사진: KIE & 팀(KIE & Team)
출처 : designboom.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