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관련 학술연구 주제와 자료를 소개합니다

[영국] 학교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연구 보고서

2025년 02월 13일 | 도서관일반

영국 학교 도서관 서비스(SLS)에 대한 20년 만의 연구 결과 발표… 운영 지속성 ‘불안정’

2025년 1월 21일, 영국의 학교 도서관 서비스(School Library Services, SLS)에 대한 연구가 20년 만에 진행되어, 운영 현황과 과제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번 연구는 ASCEL(Association of Senior Children’s and Education Librarians)이 영국 문화부의 지원을 받아 리즈 대학교에 의뢰해 수행한 것으로, 2024년 1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영국 내 41개의 학교 도서관 서비스(SLS)가 운영 중이며, 추가로 16개 서비스가 별도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에서는 39개 SLS로부터 정량·정성 데이터를 수집해 운영 실태를 분석했다.

◇ 주요 연구 결과

  • 39개 응답 기관 중 24개(61.5%)는 지역 도서관 서비스의 일부로 운영
  • SLS 직원 1명이 담당하는 학교 수는 최소 7개에서 최대 43개까지 차이
  • 가장 일반적인 서비스는 도서 대출, 그다음으로 자문 및 컨설팅, 도서상 운영, 유물 대여 서비스 제공
  • 100% 응답자가 “SLS가 교육 및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
  • 하지만 단 9%만이 “장기적으로 재정적으로 안정적”이라고 응답

보고서는 사례 연구를 통해 SLS의 전문성과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 응답자는 “SLS 직원들은 지속적으로 아동 문학을 읽고 리뷰하며, 교사와 학생들에게 최신 도서 정보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현직 교사 및 학교 관리자(SLT) 중 상당수는 양질의 학교 도서관 서비스를 경험한 적이 없어, SLS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SLS 팀의 전문성 덕분에 교사들이 수업에서 현대적이고 다양성을 반영한 문학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강조됐다.

ASCEL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LS 회원들과 논의를 거쳐 향후 방향을 설정할 계획이다. 특히 학교 도서관 서비스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지원 및 홍보 강화가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ASCEL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학교 도서관 서비스의 필요성과 가치를 강조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SLS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재정적 안정성과 서비스 확대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영국의 학교 도서관 서비스가 직면한 현실을 조명하는 동시에, 교육 시스템 내에서 SLS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보고서 요약>

영국의 학교 도서관 서비스(SLS)는 학교 교육 과정 전반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SLS가 없을 경우 교실의 학습 환경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SLS의 운영 현황, 재정 구조, 서비스 범위 및 향후 과제를 분석하고 있으며, 연구에는 39개의 SLS를 대표하는 43명의 직원이 응답했다.

1. SLS 운영 현황 및 주요 통계

  • SLS 운영 방식

– 24개 SLS는 지역 도서관 서비스 소속
– 6개는 교육 서비스 소속
– 5개는 다른 지방 정부 서비스 소속
– 4개는 독립적으로 운영

  • 재정 지원 방식

– 36개 SLS는 학교 구독(subscription) 모델을 통해 재정 확보
– 11개 SLS는 지방 정부(Local Authority)로부터 일부 지원
– 대부분의 SLS는 여러 수익원을 통해 운영됨

  • 서비스 대상

– 39개 SLS는 초등학교에 도서 대출 서비스 제공
– 26개 SLS는 중등학교에 도서 대출 서비스 제공
– SLS가 지원하는 학교 수는 최소 12개에서 최대 480개까지 다양
– 대부분의 SLS는 20~120개의 학교를 지원
– SLS 직원 수(전일제 기준)는 1명에서 19.6명까지 차이

  • 서비스 내용

– 가장 일반적인 서비스는 도서 대출
– 그 외 자문 및 컨설팅, 도서상(Book Awards) 운영, 유물 대여 서비스 제공

2. SLS의 강점과 개선 기회

◇ 강점(Strengths)

– 학교 요구 충족
–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및 신뢰 관계
– 다양한 양질의 자료 제공
– 전문성 높은 직원 보유

◇ 개선 기회(Opportunities)

– SLS의 인지도 및 도달 범위 확대
– 서비스 및 자료의 지속적 업데이트

3. 연구 응답자들의 의견

– 100%가 SLS가 교육 및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
– 100%가 서비스 이용자가 SLS를 가치 있게 여긴다고 응답
– 75%가 지역 사회에서 SLS가 인정받고 있다고 응답
– 74%가 SLS가 충분한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
– 26%만이 SLS의 인력이 충분하다고 응답
– 60%는 단기적으로 재정적으로 안정적이라고 응답
– 9%만이 장기적으로 재정적으로 안정적이라고 응답

4. 성공적인 SLS의 핵심 요소

– 학교의 요구 및 기대 충족
– 양질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
–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직원
– 재정적 안정성 확보
– 지역 사회 내 강한 인지도 확보

5. 주요 권고사항

① SLS 운영 조직에 대한 권고
– SLS는 지역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모델로 운영될 수 있음
– 모든 지역에 동일한 운영 방식을 적용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지역별 모범 사례 공유가 필요
– SLS의 지역 내 인지도 향상이 우선 과제

② SLS를 지원하는 기관에 대한 권고
– SLS는 학교에 대체할 수 없는 지원과 자문을 제공하므로 지속적인 지원 필요
– 지역 네트워크 강화 및 마케팅 전략 개발이 중요
– 국가 및 지역 차원에서 SLS를 옹호하는 정책 마련 필요

③ 정책 입안자들에게 대한 권고
– SLS는 교육 과정과 학습 지원에 매우 효과적이며 비용 대비 높은 가치를 제공
– 그러나 재정적으로 안정적인 SLS는 소수에 불과하며, 장기적인 운영 보장이 필요
– SLS가 폐지될 경우, 그 기능을 다시 복원하는 것은 어려움
– 공공 서비스로서 유지, 홍보 및 지원되어야 함

6. SLS가 직면한 위험 요소

– 재정적 불안정성(Threats to financial security)
– 서비스 품질 저하 위험(Threats to service quality)
– 변화하는 학교 환경과 요구(Changing school contexts)

7. 결론 및 전망

이번 연구 결과는 SLS가 학교 교육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부족함을 보여준다.

SLS는 학교 도서관 운영을 지원하고, 교사와 학생들에게 교육적으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학습 환경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서비스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재정적 보장이 취약하여, 정책 입안자 및 교육 기관의 적극적인 지원과 홍보가 필요하다.

ASCEL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도서관 서비스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전략적 대응을 모색할 것이며, 특히 지역 및 국가 차원에서 SLS의 가치를 강조하고 재정 지원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히고 있다.


출처 : www.ascel.org.uk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