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논에 덩그러니 서 있는 나무 로봇. 몸통 부분이 책장으로 되어 있고, 문을 열면 그림책을 중심으로 약 50여 권의 책이 진열되어 있습니다.
이 ‘로봇 도서관’이 있는 곳은 후쿠오카현 미야코마치. 어린아이의 손을 잡고 찾아오는 지역주민들의 모습도 볼 수 있으며, 따뜻하고 목가적인 풍경이 작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책과 만날 수 있는 장소
24시간 언제든지 누구나 대여할 수 있는 시스템. 바로 옆 벤치에 앉아 느긋하게 책장을 넘기거나 아이에게 책을 읽어줄 수 있습니다.

한가로운 풍경이 펼쳐져 있고 옆에는 벤치도 있다.
로봇 도서관은 헤이세이치쿠호 철도 사이카와역 근처에 있다고 합니다. 그 정보만 믿고 미야코초로 가서 주변을 돌아다녔습니다. 그 결과, 역 근처에 사는 야마자키 슈사쿠 씨(73)가 그 주인공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선로 끝에 보이는 뾰족한 모자의 사이카와 역
갑작스러운 전화에도 “어서 오세요”라고 밝은 목소리로 대답하는 야마사키씨. “찾기 힘든 곳이라서요”라며 집 근처 도로까지 나와서 웃으며 반갑게 맞아주었습니다. 자택의 방 벽은 책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도서관 관련 서적과 아동 도서 등 그 수는 약 1만 권에 달합니다.

약 1만 권의 책으로 둘러싸인 야마자키 씨의 서재
야마사키 씨는 전 토요즈초립도서관(현 미야코초 도서관)의 설립에 힘써 부관장을 역임한 책 전문가입니다. 책에 대한 애정이 남달라서 마을의 서점이 사라지고 아이들이 책을 접할 기회가 줄어드는 것을 안타깝게 여겼다고 합니다.
시골에 이 도서관을 ‘개관’한 것은 2023년 6월입니다. 공작을 잘하는 지인에게 부탁해 1.6미터 높이의 로봇을 완성했습니다. 눈은 자전거 반사판이며 몸통은 옷장 서랍, 문은 코로나 사태 때 칸막이로 사용했던 아크릴판과 폐품을 조합했습니다.

폐품을 조합해 만든 로봇도서관
로봇의 형태로 만든 것은 전 세계 도서관을 소개하는 사진집에서 본 독특한 형태에서 영감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이런 도서관이 마을에 있으면 재미있을 것 같다. 아이들이 책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로봇 도서관의 힌트가 된 사진집
“궁금한 것은 책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고 말하는 야마사키 씨. 책을 계기로 부모와 자녀가 함께 대화를 나누며 발견하는 즐거움을 알았으면 좋겠다고 말합니다. “자신의 경험을 겹쳐보면 사람에 대한 공감이 생기고, 배려와 깨달음으로 이어진다”고 힘주어 말했습니다.

책장에는 그림책과 지역 안내서 약 50여 권이 비치되어 있다.
도서관은 보통 지역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왜 인적이 드문 곳을 선택한 것일까요? “도서관이 외진 곳에 있으면 재미있지 않습니까?”라고 야마사키 씨는 말하며, ‘어, 이런 곳에! ‘라는 책과의 만남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 즐겁다”며 웃음을 지었습니다.

“도서관이 신출귀몰하면 재미있다”
논에서 로봇을 발견하고, 그림책을 펼치면 미소가 지어집니다. 어딘지 모르게 독특하고, 넉넉하고, 마음이 훈훈해지는 미야코마치. 지역 이미지도 발신하는 도서관은 ‘작은 마을 부흥’이기도 합니다.

헤이세이 지쿠호 철도 열차 창문을 통해 알아차리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어린 시절의 기억 속에
지역이 관리하는 작은 광장에는 꽃이 피고, 다카야강 물소리가 들립니다. 책 대출 기한은 따로 없고 ‘읽으면 반납’으로 OK, 설령 반납하지 않더라도 ‘마을 어딘가에 있을 테니까요’라고 야마사키 씨는 웃으며, 결국은 그 사람의 마음속에 있으면 되니까요.”라고 야마사키 씨는 말했습니다.

작은 꽃들이 들판을 화려하게 장식하고 있었다.
로봇의 ‘유지보수’와 잡초를 뽑기 위해 일주일에 한 번은 방문한다는 야마사키 씨. ‘지루하지 않게’ 한 달에 한 번 정도 용돈을 모아 조금씩 책을 교체한다고 합니다.

설치자 야마자키 씨와 로봇도서관
‘아이들이 책의 재미를 아는 곳으로’라는 야마자키 씨의 바람입니다. 푸른 하늘 아래에서 조부모나 부모님이 책을 읽어주던 추억은 옛 고향의 풍경과 함께 마음속에 깊이 새겨질 것입니다.

이 풍경이 어린 시절의 추억으로
앞으로 야마자키 씨는 어떤 책을 골라 도서관에 비치할 것인가. 논두렁에 노란 민들레가 피는 계절이 오면 이 마을 산을 다시 찾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