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Book Room © Hemant Patil
이용자는 주차장을 깎아 만든 작은 두 배 높이의 공간에 프로젝트의 추가 편의시설로 도서관을 제공하고자 했습니다. 이용자의 비전과 좋은 의도, 예산 제약이 우리 생각의 밑바탕이 되었습니다. 저희의 노력은 공간적 속성을 해결하고 다기능 독서 공간을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이 공간이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똑같이 흥미로운 공간이 되기를 바랐습니다. 독서를 장려하고 지식을 공유한다는 아이디어는 디자인 씽킹의 필수적인 측면으로 여겨졌습니다.

The Book Room © Hemant Patil

The Book Room Plan

The Book Room © Hemant Patil
비용을 최적화하고 성인과 어린이를 위한 다용도 학습 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아치형 천장과 아치형 외부 파사드는 체적 변경을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 공간의 한쪽 면만 자연 채광이 가능했기 때문에 이를 최대한 활용하고 필요한 양의 빛을 실내 공간으로 끌어들여야 했습니다. 이 공간을 다양한 방식으로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쪽에는 계단식 원형극장과 같은 비공식적인 좌석을 제안했습니다. 다른 쪽의 커뮤니티 독서 테이블은 동시에 사용하는 여러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고 지식을 교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The Book Room © Hemant Patil
공간, 예산 및 업무의 성격이라는 정해진 제약 조건 내에서 환경적으로 책임감 있는 디자인 접근 방식을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했습니다. 이 공간은 기계식 환기에 의존하지 않습니다.동-서 교차 환기가 목적에 부합합니다. 전체 높이의 유리 파사드 덕분에 실내 공간은 늦은 저녁까지 자연 채광이 가득하여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 동안 인공 조명의 사용을 줄였습니다. 현지에서 구할 수 있는 벽돌, 콘크리트, 친환경 등급 합판으로 구성된 자재 팔레트는 자재 사용량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디테일링 및 모듈은 전반적인 리소스 최적화와 낭비 감소에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The Book Room © Hemant Patil

The Book Room Section

The Book Room © Hemant Patil
색상과 텍스처는 더 인간적인 공간을 만들고 이러한 활동의 일반적인 형식적인 설정에서 벗어나기 위해 더 흙빛 톤으로 유지되었습니다. 실내외 곳곳에 자연 식물을 사용했습니다. 책꽂이, 독서 테이블, 좌석, 조경 포켓 등에 식물을 배치하여 공간에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긴 가구의 단조로움을 탈피하고자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독서가 행복한 시간이 되고 지식 공유가 상호 작용의 이유가 될 수 있도록 공간을 이용자 친화적으로 만드는 데 디테일과 디자인에 집중했습니다.

The Book Room © Hemant Patil

The Book Room © Hemant Patil

The Book Room © Hemant Patil
출처 : archdaily.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