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공공도서관상(Public Library of the Year Award)’은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이 신축 공공도서관을 기리기 위해 제정한 상으로, 베이커 앤 테일러(Baker & Taylor)가 주요 후원사로 참여하고 있다.
이 상은 전 세계 도서관 가운데 개방적이고 기능적인 건축을 지속가능성과 창의적인 IT 솔루션과 결합해 구현하고, 디지털 발전과 지역 문화를 아울러 반영한 도서관에 수여된다.
수상 자격은 새로 지어진 도서관, 대규모 증축을 거친 도서관, 또는 이전에는 도서관으로 사용되지 않았던 건물을 도서관으로 개조한 사례에 해당한다.
시상식은 8월 18일부터 22일까지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제89차 세계도서관정보대회(IFLA WLIC)에서 진행되며, 수상 도서관에는 미화 5,000달러의 상금이 주어진다.
2025의 최종 후보 도서관
- New Canaan Library, New Canaan, Connecticut, United States
2025년 올해의 공공도서관상 최종 후보에 오른 미국 코네티컷주 뉴케이넌(New Canaan)의 뉴케이넌 도서관(New Canaan Library)은 지역 공동체를 위한 환영받는 새로운 도서관의 모범 사례로 평가된다.
이 도서관은 ‘공공의 거실’ 같은 공간 구성을 통해 밝고 따뜻한 분위기를 제공하며, 지역 주민 누구나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 건물 곳곳에서 주민들이 자연스럽게 모이고 교류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모두를 위한 무언가가 존재한다’는 느낌을 준다.
건축 양식은 미드센추리 모더니즘(Mid-Century Modern) 스타일로, 현지 채석장에서 채취한 석재를 활용해 도서관과 뉴케이넌 마을 중심부가 아름답게 연결되도록 했다. 건물은 개방적이고 유연한 구조로 설계되어 공동체의 다양한 사용을 뒷받침한다. 인간적 규모감이 유지되었으며, 도서관 내부는 거리와 정원, 광장에서 바라보이는 개방적 시야를 통해 외부와의 연결성을 강조했다.
프로젝트의 모든 설계 결정에는 에너지 효율과 환경적 영향을 고려한 의도가 담겼다. 예를 들어, 건축가들은 에너지 절약 시스템, 재생에너지, 친환경 자재, 내구성 있는 가구를 도입해 장기간 사용을 가능하게 했다. 실내는 자연광으로 가득 차 있으며, 풍부한 자연 소재와 마감재가 사용돼 고전적이면서도 현대적이고 중립적인 색채 팔레트를 구현했다.
설계는 센터브룩 아키텍츠 앤 플래너스(Centerbrook Architects and Planners)가 맡았다.
- Gabrielle-Roy Library, Québec, Canada
가브리엘 루아 도서관(Gabrielle-Roy Library)은 기존 도서관 건물을 창의적으로 리노베이션해 지역 공동체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은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단순히 철거 후 신축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존 구조를 전면적으로 확장·재구성해 현대적이고 영감을 주는 도서관으로 탈바꿈시켰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지속가능성 요소가 적용되었고, 기존 건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고 새로운 자원 채굴의 필요성을 줄였다. 과거 건물이 폐쇄적이고 주변 환경과 단절된 모습이었다면, 리노베이션 후에는 전면 유리 파사드와 야외 발코니를 통해 거리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건물 전반에 공공 기능을 배치해 활발한 개방성을 확보했다.
이 프로젝트의 성공 요인은 공동체 중심 접근 방식에 있다. 도서관은 4개 층에 걸쳐 10개의 주제 허브를 두었으며, 이는 지역 주민과의 공동 설계 과정을 반영한 결과다. 각 허브는 서비스, 프로그램, 컬렉션을 다양하게 지원하며, 1층은 특히 지역사회와의 외부 연결과 시민적 기능의 내부 구성이 두드러진다. 채광이 풍부한 중앙 계단은 아트리움 역할을 하며, 공공 미술 작품으로 장식돼 문화적 가치를 더한다.
도서관은 음악 스튜디오, 상영실, 팹랩(fab lab), 예술 워크숍 등 폭넓은 시설을 제공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도서관은 단순한 책 보관소에서 벗어나 진정한 사회적 중심지, 지역 공동체에 맞게 진화한 ‘제3의 공간(third place)’으로 자리매김했다.
설계는 소시에 + 페로트(Saucier + Perrotte)와 GLCRM 건축가 컨소시엄이 맡았다.
- Heping Library, Shanghai, China
상하이 최초의 24시간 공원 도서관으로 소개된 허핑 도서관(Heping Library)은 맥락에 잘 어울리는 아름다운 설계와 실내외 공간의 조화로운 통합으로 주목받는다. 도서관은 허핑 공원 한가운데 자리하며, 방문객들이 도서관을 이용하는 동안 마치 정원 속에 있는 듯한 경험을 제공한다.
이 건물은 원래 공원 내에 방치된 시설이었으나 리노베이션을 통해 재탄생했다. 설계팀은 기존 구조를 최대한 보존하면서 공간 관계를 새롭게 정의하고, 지역 재료 사용을 우선시해 자재 소비, 운송 비용, 건설 비용을 크게 줄였다. 도서관의 주요 구조는 공원의 동선과 통합돼 있으며, 사계절 식생으로 둘러싸여 새들의 서식처가 되고, 공원의 생태 네트워크와 긴밀히 연결된 시설로 자리 잡았다.
도서관은 일반 열람관과 어린이관 두 개의 별동으로 구성돼 있다. 건축 개념은 24시간 시민에게 열려 있다는 상징을 담아 ‘펼쳐진 책(open book)’의 이미지에서 영감을 받았다. 일반 열람관은 중국식 파고다 양식의 내부 공간을 지니며, ‘자연 발견(Nature Discovery)’이라는 개념 아래 강, 바위, 숲, 안개 같은 자연 요소를 공간 구성과 재료 디자인에 반영했다. 어린이관은 ‘별빛 꿈(Starry Dreams)’을 주제로 삼아 빛과 그림자, 구름과 바람, 푸른 하늘, 초록 들판을 시각적으로 담아내고, 아동의 순수함과 상상력을 공간에 녹여냈다.
전반적으로 첨단 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된 점도 특징적이다. 설계는 아담 라우(Adam Lau)가 맡았다.
평가 기준
국제 심사위원단은 다음 여섯 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공공도서관상 후보 도서관들을 평가한다.
1. 주변 환경 및 지역 문화와의 상호작용
건축이 지역 공동체의 문화를 어떻게 반영하거나 고려하는가가 핵심이다. 도서관이 도시 경관 속에서 얼마나 잘 드러나며, 주변 건물이나 열린 공간과 상호작용하는지 살핀다. 또한 도서관이 지역 내 연결과 흐름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지, 지역 주민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공동체의 거실(living room)’로 기능하는지를 평가한다.
2. 건축적 품질
각 공간이 기능과 동선 측면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작동하는지, 건축 개념이 건물의 다양한 규모와 요소 속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구현됐는지 검토한다. 건축이 도서관 이용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중요하다.
3. 유연성(Flexibility)
도서관 공간이 이용자의 다양한 활동을 영감 있게 이끌고 새로운 활동과 시너지를 지원하는지 살핀다. 공간이 얼마나 쉽게 변형돼 다양한 기능과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지도 중요한 기준이다. 예를 들어, 메이커스페이스, 워크숍 공간, 무대, 학습 공간과 같은 특수 시설이 포함돼 있는지, 그리고 실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본다.
4.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도서관 설계와 운영에서 지속가능성 원칙이 어떻게 구현됐는지를 평가한다. 자원 사용을 줄였는지, 지역 재료를 활용했는지, 재생에너지를 사용했는지, 그리고 운영 비용을 최소화했는지가 주요 항목이다.
5. 학습 및 사회적 연결
도서관이 얼마나 다양한 학습 경로를 제공하는지, 그리고 인테리어 디자인이 개인·사회·문화·경제적 필요를 어떻게 지원하는지 살핀다. 가구 배치와 공간 프로그램이 어떻게 실행되는지, 다양한 연령층과 이용자를 끌어들이며 협력적 학습과 공동 창작을 어떻게 장려하는지도 중요한 평가 요소다. 학습 공간이 건물 전체와 어떻게 연계되는지도 포함된다.
6. 디지털화 및 기술적 솔루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 콘텐츠 접근성이 도서관 공간 속에 어떻게 통합됐는지를 검토한다. 모바일 기술을 포함해 디자인·미학·상호작용이 디지털화를 어떻게 뒷받침하는지가 핵심이다. 기술이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활용돼 이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지도 중요한 평가 기준이다.
추가 고려사항: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IFLA 비전
도서관이 UN SDGs를 어떻게 반영하는지, 예컨대 목표 4(양질의 교육), 목표 11(지속가능한 도시와 공동체), 목표 12(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목표 13(기후행동) 등과 같은 구체적 목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함께 평가한다.
역대 수상 도서관
- 2024: Beijing Library, China
- 2023: Biblioteca Gabriel García Márquez, Spain
- 2022: Missoula Public Library, USA
- 2021: Deichman Bjørvika, Norway
- 2019: Oodi Helsinki Central Library, Finland
- 2018: KopGroep Bibliotheken (School 7), Netherlands
- 2016: Dokk1, Denmark
- 2015: Kista Public Library, Sweden
- 2014: Craigieburn Library, Australia
출처 : ifla.or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