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기능적으로나 철학적으로나 그 어느 때보다 도서관과 같은 '제3의 장소'가 필요하다. 미국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는 1939년 6월 19일, 나치 독일에서 벌어진 책 소각에 대응하기 위해 ‘도서관 권리장전(Bill of Rights)’을 채택했다. 다큐멘터리 《Free for All: The Public Library》에서 감독이자 내레이터인 돈 록스던(Dawn Logsdon)은 이러한 참혹한 사건이 미국의 사서들로 하여금 도서관의...
![[영국] 도서관의 새로운 지속가능성 및 기후변화 전략](https://i0.wp.com/library.re.kr/wp-content/uploads/2024/10/6a00d8341c464853ef02e860d5e167200b.jpg?resize=400%2C250&ssl=1)
![[영국]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혁신을 선도하는 영국](https://i0.wp.com/library.re.kr/wp-content/uploads/2024/09/getty-images-rBq26TM925Q-unsplash.jpg?resize=400%2C250&ssl=1)
![[북리뷰] Underground Library는 중요한 작품](https://i0.wp.com/library.re.kr/wp-content/uploads/2024/09/BRlead-Sept22.jpg?resize=400%2C250&ssl=1)
![[스웨덴] ‘모두를 위한 공공 도서관’ – 무엇을 의미할까요?](https://i0.wp.com/library.re.kr/wp-content/uploads/2024/09/2021-06-07-10.28.06.jpg?resize=400%2C250&ssl=1)
![[논문] 직업적 경외심과 사서직: 우리가 스스로에게 하는 거짓말](https://i0.wp.com/library.re.kr/wp-content/uploads/2024/08/pexels-photo-279222.jpeg?resize=400%2C250&ssl=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