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의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학자인 Henrik Jochumsen, Dorte Skot-Hansen, Casper Hvenegaard는 2010년 발표한 ‘지식과 경험 사회에서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새로운 모델’ (A new model for the public library in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society) 논문에서, 공공 도서관이 수동적인 도서 보존을 위한 기반 공간에서, 경험과 영감을 위한 보다 능동적인 공간과 지역 모임의 거점으로의 전환을 설명하는 4-space 모델을 제시하였는데, 최근 유럽과 미국의 공공도서관 공간기획의 이론적 기반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 모델은 감흥의 공간 Inspiration Space , 배움의 공간 Learning Space, 만남의 공간 Meeting Space 및 공연의 공간 Performative Space 의 ‘네 가지 중첩 공간’으로 구성됩니다 . 이 4개의 공간은 단지 물리적 의미의 구역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역의 물리적 도서관 뿐 아니리 온라인의 사이버 도서관에서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 네 공간의 전반적인 목표는 현대 공공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네 가지 중요한 핵심가치를 지원하는 것입니다.
경험 Experience, 참여 Involvement, 역량강화 Empowerment, 혁신 Innovation
감흥의 공간 Inspiration Space
의미있는 경험, 즉 우리를 감동시키는 경험을 위한 공간이며, 모든 종류의 미디어, 문화적 형태 및 장르에 담겨있는 이야기 또는 기타 예술적 표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미적인 경험을 하게 됩니다. 감흥의 공간은 평범한 경험보다는 감동적인 경험의 선택을 더 원하는 이용자들이 다시 찾게 만듭니다. 도서관 공간 자체는 경험이면서 행사 및 문화적 준비를 위한 무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 공간은 특히 인식의 변화, 경험 및 혁신을 지원합니다.
배움의 공간 Learning Space
배움의 공간은 경험과 역량강화를 뒷받침합니다. 이 곳은 어린이, 청소년 뿐아니라 어른들이 세계를 경험하고 탐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정보와 지식에 대한 무제한 접근을 무료로 즐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역량과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 곳의 배움은 이용자 자신의 경험과 자신의 학습 니즈를 정의하려는 욕구를 기반으로 하는 대화 중심의 프로세스입니다. 사전에 정해진 것이 아닌 비공식적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음악이나 기타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놀이, 상호 대화 및 사회적 학습 방법의 개발을 통해 보다 경험 지향적인 학습으로 특히 젊은이들의 학습욕구를 충족시켜야 합니다. 과제을 할 수 있는 카페 공간, 학습 장소, 공개 강좌 및 실험 공간으로 사용되어 배움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만남의 공간 Meeting Space
만남의 공간은 집과 직장(또는 학교) 사이의 제3의 공간으로서 이용자들이 자신과 다른 사람을 만날 수 있는 열린 공공 장소입니다. 분절된 사회에서 자신과 다른 관심사와 가치를 가진 사람들을 만나고 토론과 공감을 통해 당신에게 도전하는 의견을 만나는 플랫폼이 필요합니다. 만남의 공간은 신문이 있고 카페 같은 분위기의 라운지 공간에서 비공식적이고 무작위적인 만남을 위한 소규모의 친밀한 공간일 뿐만 아니라 주제와 문제를 분석하고 토론 할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인 모임을 위한 공간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 곳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채팅, 블로그 또는 기타 소셜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회의를 열 수 있습니다. 만남의 공간은 특히 역량강화 및 참여를 지원합니다.
공연의 공간 Performative Space
공연의 공간은 특히 참여와 혁신을 지원합니다. 공연의 공간에서 이용자는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여 예술과 문화와의 만남에서 새로운 예술적 표현을 배울 수 있는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이용자들은 대화형 게임, 글쓰기, 음악 및 영상창작 등 창의적인 활동을 지원하는 도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전문 아티스트, 디자이너, 멀티미디어 개발자 등의 워크샵을 통해 창의적인 활동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공연의 공간은 이용자의 작업 결과물과 창작품을 전시하거나 공연할 수 있고, 다른 이용자들과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중재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도서관의 공간을 다시 구성하려거나 새로 건립하려면 이 4-space 모델의 철학을 살펴보고, 도서관에서 네 개의 공간을 통합하는 방법과 공감할 공간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같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