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를 위한 지정 구역?
신민일보(Shin Min)에 따르면, 일부 네티즌들은 일부 노인들이 더위를 피해 더 시원한 환경을 찾고 있을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또 다른 네티즌들은 노인들이 쉴 수 있는 특별히 지정된 구역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이들은 드라마를 시청하거나 게임을 하는 사람들이 좌석을 차지하면 공부하거나 책을 읽는 방문객들에게 불편을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작년 9월, 익명의 사용자가 페이스북에 차이나타운 도서관에서 비슷한 상황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습니다. “도서관 방문객의 대다수는 노인들이었고, 일부는 평화롭게 낮잠을 자고 다른 일부는 신문 읽기에 몰두하고 있었습니다.”라고 사용자는 썼습니다. “차이나타운 포인트 도서관이 노인들을 위한 주간 피난처가 된 것처럼 보였고, 이는 때때로 우리가 공부하거나 과제나 복습을 완료하는 데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했습니다.” 국립도서관위원회(National Library Board) 웹사이트에 명시된 행동 수칙에 따르면, “잠은 도서관이 아닌 집에서 자라”라는 규칙이 있습니다. 이용자들은 또한 좌석, 전원 콘센트 및 도서관 자료를 서로 공유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물을 제외하고 도서관에서는 음식과 음료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학생들은 테이블에서 공부하는 도서관 에티켓을 준수하고, 다른 용도로 지정된 구역에서는 공부하지 않아야 합니다. 신민일보(Shin Min)의 한 기자가 수요일에 겔랑 이스트 도서관(Geylang East Library)을 방문했을 때, 대부분의 노인 방문객들은 책에 몰두하고 있었습니다. 한 사서는 보통 오후에 도서관에서 자고 있는 사람들을 보게 되며, 이런 이용자들에게 다가가 깨운다고 말했습니다. 60세의 한 이용자는 가끔 책을 읽다가 깜빡 졸기도 했지만, 낮잠을 자려고 도서관에 오지는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다른 76세의 이용자는 노인들이 의도치 않게 잠들 수 있다는 점에 동의했지만, 예전보다 이러한 일이 덜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출처 : www.asiaon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