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관련 학술연구 주제와 자료를 소개합니다

[미국] 시카고 예술대학교의 플랙스맨 도서관(Flaxman Library) 리노베이션

2025년 03월 7일 | 공간 사례 | 코멘트 0개

  • 면적 : 1,858 m²
  • 연도 : 2023년
  • 위치 : 미국 시카고

시카고 예술대학교(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플랙스맨 도서관(Flaxman Library)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도서관의 공간적 경험에 있어 획기적인 “열린 책(Open Book)”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이전에는 분리되어 있던 두 개의 층을 연결하여 하나의 시각적·물리적 통합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도서와 그 장서를 보존하는 사서들의 작업이 한눈에 보이도록 설계되었다.

Diagram

시카고 중심부에 위치한 예술학교로서, 이 학교의 다양한 핵심 프로그램들은 도심 캠퍼스 내 고층 건물의 여러 층에 나뉘어 배치될 수밖에 없다. 리노베이션 이전까지, 이층으로 구성된 도서관의 각 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었다. 5층에는 자연 채광이 없는 불투명하고 구불구불한 복도 뒤편에 특수 컬렉션(Special Collections)과 사서 공간이 자리하고 있었으며, 6층에는 주요 장서가 위치해 있었으나, 엘리베이터와 비상 계단 외에는 아래층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Plan – 5층

이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Holabird & Roche 건축사무소가 설계한 1902년 역사적 샤프 빌딩(Sharp Building)의 기존 층 구조를 활용하면서, 원래의 시카고 강철 프레임 구조가 지닌 창의성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구조적 빔 사이의 평평한 점토 타일 아치를 제거하여 5층과 6층 사이에 폭 5피트(약 1.5m), 길이 100피트(약 30m)의 좁지만 개방적인 아트리움을 조성했으며, 이 공간은 건물의 기존 교차 빔이 강조되는 형태로 설계되었다. 조명 디자인 또한 원래의 구조와 조화를 이루도록 구성되었다. 천장 구조 내부에 위치한 강철 프레임의 위치를 따라 두 줄의 선형 조명이 배치되었으며, 아트리움 상부에 비스듬히 배치된 조명은 철골 프레임 사이에서 제거된 점토 타일을 암시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두 층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아트리움 아래에는 새롭게 조성된 ‘Corridor +’ 공간이 위치한다. 이 공간은 이동과 접근을 위한 통로일 뿐만 아니라, 반개방형 학생 열람 공간을 포함하는 학습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Corridor +는 건물 전체 길이인 150피트(약 45m)를 따라 이어지며, 보안이 필요한 도서관 공간을 모두 바닥 평면의 남쪽으로 배치하도록 설계되었다. 곡선형 천장 아래에는 톱니 모양의 벽이 배치되어 유연한 학습 공간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한쪽 면에 설치된 유리 칸막이 덕분에 학생들은 도서관의 자료 보관소와 사서들의 업무 공간을 직접 들여다볼 수 있다. 동시에 남쪽 파사드에서 들어오는 자연 채광이 Corridor +의 가장 깊은 공간까지 닿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투명한 공간 구성은 도서관의 기능을 강조하고, 사서들의 중요한 작업을 조명하는 역할을 한다.

Plan – 6층

새롭게 조성된 Corridor +는 학생 학습 공간을 위해 1,000 평방피트(약 93㎡)를 추가로 확보하면서, 서가 배치를 더욱 효율적으로 재구성하여 추가적인 책장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디자인은 Corridor +의 곡선형 천장이 만들어내는 부드러운 흐름과, 삼각형 톱니 형태로 구성된 열람 공간을 조화롭게 결합하였다. 이를 통해 기능성과 미적 요소를 동시에 고려한 공간이 완성되었다.

새롭게 설치된 계단은 두께 ½인치(약 1.27cm) 강철 판과 표준 앵글 철재로 제작되어 5층과 6층을 물리적으로 연결한다. 이 계단은 제작 과정에서 발생한 용접 이음새까지 그대로 드러나는 자연스럽게 형성된 녹청(patina)과 투명 코팅 마감을 적용하여 단순하면서도 공정의 흔적을 보여주는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계단은 중앙 기둥 위에 ½인치(약 1.27cm)만큼 떠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 마치 공중에 떠 있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연출한다. 계단 내부에는 화이트 오크(White Oak) 재질의 손잡이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어두운 계단 공간에 따뜻한 대비를 이루고 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도서관은 한층 더 개선되었다. 두 개 층으로 이루어진 도서관 공간은 더 많은 커뮤니티 공간을 확보하고, 자연 채광을 증대하며, 더 크고 효율적인 자료 보관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기능성이 강화되었다. 또한, 유연한 열람 공간(Reading Room)을 조성하여 강의 및 개별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수용 인원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거두었다. 무엇보다도, 도서관 층간의 시각적·물리적 연결성을 높여 공간 이동이 더욱 직관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개선되었으며, 이를 통해 컬렉션에 대한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Section


출처 : www.archdaily.com

0개의 댓글

댓글 제출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