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15년 4월 Bulletin des bibliothèques de France(BBF)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Badia Berger Architectes"는 8개의 시립 도서관과 1개의 대학 도서관을 건축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프로젝트에 사용된 건축 원칙을 소개합니다. 그들의 접근 방식을 설명하며 사서들과 토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제기된 질문에 대한 정답은 정해져 있지 않으며 각 프로젝트는 새로 시도되는 모험입니다. 도시에 개방된 시설인...
해외 출처의 자료는 전체적인 맥락을 보다 신속하게 전달하는 것을 가장 우선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번역과 용어를 빠른 시간에 매끄럽게 수정하지 못하고 있음을 양해바랍니다.
'도서관 공간' 관련 글
[영국] 도서관에 대한 가디언의 관점: 대출자가 돌아와야 한다.
도서관에 대한 가디언의 관점: 대출자가 돌아와야 한다 <사설> 펜데믹 기간 동안 도서관의 자료 대출은 급격히 감소했지만 웹 사이트 방문은 증가했습니다. 계속적으로...
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참고사례, 광주야호센터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소재한 청소년문화의 집 야호센터는 2016년 11월에 개관하였습니다. (상세한 센터 소개는 홈페이지를 참조바랍니다 : yaho.gwangsan.go.kr)...
[스페인] 산츠 게르바시-후안 마라갈 도서관, 바로셀로나
오래된 도시유산을 활용하고, 지속가능한 공간을 위한 에너지 절감 노력, 그리고 이용자 접근성 보장 뿐아니라 주변 환경과의 조화는 공공도서관 건축의 귀중한 가치임을 보여줍니다....
헬싱키중앙도서관 OODI의 미래도서관에 대한 새로운 관점
최근 우리나라에 도서관의 신축과 리모델링이 증가하면서 미래도서관에 대한 관심이 무척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2021년4월27일~5월31일까지 미래도서관 특별전을...
공공도서관의 공간기획을 위한 4 Spaces Model
덴마크의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학자인 Henrik Jochumsen, Dorte Skot-Hansen, Casper Hvenegaard는...
‘도서관을 위한 디자인 씽킹’ 발행
도서관을 위한 디자인 씽킹 안내
제4회 도서관공간기획 교육
건국대학교 링크사업단 지원의 문헌정보학과 재학생 대상의 교육으로 '도서관을 위한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활용 교육일정 1일차 : 도서관공간기획 1~2단계 – 이해, 발견하기...
‘하루만에 할 수 있는 디자인 씽킹’ 특강
대구에서 대학도서관 사서분들을 모시고 6시간 동안 “하루만에 할 수 있는 디자인씽킹”교육을 진행했습니다. 디자인씽킹에 대한 기본 강의를 듣고...
도서관 공간에 대한 이용자 경험(UX) 연구
공간 사용 데이터 수집을 통한 도서관 공간의 UX 향상 사람들이 어디에 있고,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은 도서관 공간의 UX(U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