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이 캡스톤디자인 수업으로 '충주늘푸른학교 도서관 환경개선 프로젝트'를 수행했습니다. 충주늘푸른학교는 퇴직교원이 설립·운영하는 민간단체로, 일반 학교가 아니고 정규 학교를 다니지 못한 지역 어르신들에게 초등학력인정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곳입니다. 이곳의 학습자 수는 55명이고 이중 70·80대 이상이 8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비록 학교 규모도 크지 않아 복도 한 켠을 도서관으로 사용하고 있는 작은 도서관이지만, 공공의 손길이 미치지...
해외 출처의 자료는 전체적인 맥락을 보다 신속하게 전달하는 것을 가장 우선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번역과 용어를 빠른 시간에 매끄럽게 수정하지 못하고 있음을 양해바랍니다.
'디자인씽킹' 관련 글
브레인스토밍, 그리고 혁신에 대한 방법론,
도서관을 위한 디자인씽킹의 '아이디어내기'단계에서 핵심적인 활동은 브레인스토밍입니다. 이 브레인스토밍 방법론을 개발한 Alex F. Osborn의 책인 'Applied...
[미국] Ed Farm ‘Spaces’ 이니셔티브, 앨라배마 학교에서 첫 번째 혁신 도서관 출범
Ed Farm은 버밍엄 시립 학교와 손잡고 금요일에 Ed Farm의 "Spaces" 이니셔티브를 통해 설계된 조직 최초의 학습 공간인 South Hampton...
[해외 컬럼] 사서직과 도서관 교육이 무엇인지 정의하기
Nancy K. Herther 도서관 교육의 철학 및 윤리 원칙에 대한 현재 논의는 다음과 같은 주요 문제에 중점을 둡니다. 전문가의 문화적 다양성과 그것이 사용자 관점과...
‘학교도서관 공간혁신 매뉴얼’ 발간
교육부와 KERIS의 지원을 받아, 지난해 하반기에 학교 사서 선생님들과 함께 작업한 '학교도서관 공간혁신 매뉴얼'이 발간되었습니다. 전국적으로 많은 학교들이 학교도서관 공간의...
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참고사례, 광주야호센터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소재한 청소년문화의 집 야호센터는 2016년 11월에 개관하였습니다. (상세한 센터 소개는 홈페이지를 참조바랍니다 : yaho.gwangsan.go.kr)...
MLS에서 MLD로의 전환 : 디자인 씽킹과 철학을 문헌정보학 교육에 통합
MLS에서 MLD로의 전환 : 디자인 씽킹과 철학을 문헌정보학 교육에 통합 우리는 도서관이용자들이 도서관서비스 이용을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공공도서관의 공간기획을 위한 4 Spaces Model
덴마크의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학자인 Henrik Jochumsen, Dorte Skot-Hansen, Casper Hvenegaard는...
공공도서관의 공간과 서비스 개선을 위한 프레임워크
우리 도서관에는 많은 개선점과 크고 작은 문제들이 산적해 있습니다. 도서관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과 이를 위한 공간의 재구성도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도서관의...
‘도서관을 위한 디자인 씽킹’ 발행
도서관을 위한 디자인 씽킹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