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공간 자료

‘학교도서관 공간혁신 매뉴얼’ 발간
교육부와 KERIS의 지원을 받아, 지난해 하반기에 학교 사서 선생님들과 함께 작업한 '학교도서관 공간혁신 매뉴얼'이 발간되었습니다. 전국적으로 많은 학교들이 학교도서관 공간의 개선을 위해 적지 않은 예산과 시간을 들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수고를 덜어드리기 위해 각 교육청 별로 좋은 사례가 되는 학교도서관을 소개하고 공간구성의 기본에 대한 이해와 관련 정보의 전달을 도와드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공간 혁신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모든 학교의 도서관 담당 선생님들께...

왜 북유럽 도서관들은 좋은 도서관으로 평가받는가?
IFLA에서는 매년 '올해의 공공도서관 상'을 선정하여 발표한다. 이 상은 전년도 1월 1일에서 12월 31일 사이에 준공된 세계 공공도서관 중에서 개방적이고 기능적인 공간구조와 창의적인 IT 솔루션을 가장 잘 결합하고 지역 문화를 모두 고려하여 설립된 도서관에 수여되며 후보 자격을 얻으려면 새로 건축되거나 이전에 도서관으로 사용하지 않은 건물을 리모델링한 도서관이어야 한다. 따라서 도서관의 기능적인 면이나 형태적인 면에서 여러 전문가들로 부터 세계에서 가장 좋은 도서관으로...

홈라이브러리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
어린 시절 도서관이 클수록 성인의 문해력, 수학, 정보 액세스 및 처리 능력이 향상되어 모든 사람에게 유용합니다. 책을 읽으면 분명 더 훌륭하고 똑똑한 경영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독서는 다른 놀라운 일들도 합니다. 책은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6분만 읽으면 스트레스 수준을 최대 68%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1). 책은 인지 노화를 늦출 수 있습니다. 비독서자(1년에 한 권 미만의 책을 읽는 사람)에 비해 책읽기를 즐기는 사람은 말년에 정신적 노화가 32% 더...

헬싱키중앙도서관 OODI의 미래도서관에 대한 새로운 관점
최근 우리나라에 도서관의 신축과 리모델링이 증가하면서 미래도서관에 대한 관심이 무척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2021년4월27일~5월31일까지 미래도서관 특별전을 개최하고 이용자들이 미래도서관의 공간과 서비스를 미리 경험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였습니다. 미래 기술인 드론과 인공지능 로봇 사서를 통한 도서관 서비스를 체험해보기도 했었습니다.미래도서관에 대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의견을 제시하고 있지만, 2018년에 새롭게 개관한 핀란드...

공공도서관의 공간기획을 위한 4 Spaces Model
덴마크의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학자인 Henrik Jochumsen, Dorte Skot-Hansen, Casper Hvenegaard는 2010년 발표한 '지식과 경험 사회에서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새로운 모델' (A new model for the public library in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society) 논문에서, 공공 도서관이 수동적인 도서 보존을 위한 기반 공간에서, 경험과 영감을 위한 보다...
중등학교에서 상호작용, 협업 및 행동 참여를 촉진하는 유연한 학습 공간
초록 전 세계적으로 많은 학교가 학업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 교실을 혁신적이고 유연한 학습 공간으로 대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교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습니다. 9개 중등학교의 학생들(n = 60, 평균 연령 13.2±1.0세)을 전통적으로 가구가 배치된 교실과 다양한 교육적 접근 방식과 학습 스타일을 수용하기 위해 다양한 가구 옵션을 갖춘 유연한 학습 공간에서 30분 동안 순간적인 시간 샘플링을 통해 관찰했습니다. 두 조건의 교육 접근...

아이들이 책을 읽고 싶게 만드는 도서관의 디자인
미국의 그래픽디자이너인 Michael Bierut가 뉴욕의 학교도서관 리모델링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아이들이 책을 읽고 싶게 만드는 도서관을 디자인하는 것에 대한 경험을 TED를 통해 전달한 동영상 자료입니다. 최근 각급 학교도서관의 리모델링 사업이 추진될 예정인데, 도서관의 공간 구성도 중요하지만, 특색있는 도서관 디자인 요소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교육청 관계자, 학교의 사서, 그리고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공간디자이너와 건축가들에게 참고가 될 수 있는...

홈라이브러리는 어린이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충분한 책이 있는 집에서 자라는 것만으로도 성인 문해력과 수학 능력이 향상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요약 최소 80권의 책이 있는 가정에서 자라는 어린이는 성인이 되었을 때 읽고 쓰는 능력과 산술 능력이 향상됩니다. 홈라이브러리는 대학 단독으로 할 수 있는 것보다 읽기 및 수학 능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친학습 가정에서 자라면 평생 지식을 추구하게 됩니다. " Scholarly culture: How books in adolescence: How...

도서관에서 UX 작업 : 어떻게 그리고 왜 하는가?
HCI연구에서 시작된 이용자경험(User eXperience, UX)은,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 서비스와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매우 유용한 개념이며,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입니다. (이전글 '공간 사용 데이터 수집을 통한 도서관 공간의 UX 향상' 참조) 여기 소개하는 글은 2017년 6월에 발간된 Developing In-House Digital Tools in Library Spaces라는 책의 제1장 UX Work in Libraries: How...

도서관 공간에 대한 이용자 경험(UX) 연구
공간 사용 데이터 수집을 통한 도서관 공간의 UX 향상 사람들이 어디에 있고,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은 도서관 공간의 UX(User eXperience) 를 탐색하는 쉬운 시작점입니다.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은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지각과 반응, 행동 등 총체적 경험을 말합니다. 사용자 경험은 HCI (Human-Computer Interaction)연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