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연구
도서관에 대한 일반연구, 도서관 디자인씽킹, 도서관 공간디자인 등에 관련된 연구보고서, 논문, 기사, 자료를 발굴 게재하여 업무나 연구에 도움을 드립니다.

관계의 아키텍처
이 글은 2015년 4월 Bulletin des bibliothèques de France(BBF)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Badia Berger Architectes"는 8개의 시립 도서관과 1개의 대학...

도서관 디자인, 몇 개의 좌석이 필요한가?
거의 모든 도서관 디자인 프로젝트에 등장하는 한 가지 질문은 도서관에 몇 개의 좌석이 필요할까?입니다. 도서관은 단순히 정보에 접근하는 공간에서 연결, 창작, 협업을 위한 공간으로 진화해 왔습니다. 도서관의 공간...

청소년의 문화 활동 중심지, 도서관 복합문화공간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격월간 소식지 "도서관이야기" 2024년5/6월호] 청소년의 문화 활동 중심지, 도서관 복합문화공간 글_최만호(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겸임교수) | 공공도서관 및 학교도서관 확대의 중요성...

대학도서관이 캠퍼스 탈탄소화를 선도할 수 있는 방법
도서관은 오랫동안 학생들의 성공을 지원하고, 연구를 발전시키며,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을 포용하는 데 앞장서 왔습니다. 캠퍼스에서 이처럼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서관은 대학 캠퍼스에서 가장 크고 가장 오래 개방된...
도서관 예산 지원에 대한 인식 개선
우리나라의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작은도서관이 의무적으로 설치되는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단지(아파트)에는 경로당, 어린이놀이터, 어린이집, 주민운동시설이...
작은도서관 문제에 대한 접근법
2018년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에는 6.333개의 작은도서관이 있습니다. (출처:국가도서관통계) 이 중 1,433개의 공립작은도서관 (실제는 공공도서관이지만 시설기준에 의해...
도서관임을 알 수 있는 도메인을 갖게 된다면…
지난 해 학생들과 홈페이지가 없는 작은도서관들의 홈페이지를 개발 제작하는 수업을 진행하였는데,(참조: ict.class.re.kr) 그 결과물을 도서관에서 사용하게 하려다보니...
헬싱키중앙도서관 OODI의 미래도서관에 대한 새로운 관점
최근 우리나라에 도서관의 신축과 리모델링이 증가하면서 미래도서관에 대한 관심이 무척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2021년4월27일~5월31일까지 미래도서관 특별전을...
공공도서관의 공간기획을 위한 4 Spaces Model
덴마크의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학자인 Henrik Jochumsen, Dorte Skot-Hansen, Casper Hvenegaard는...
공공도서관의 공간과 서비스 개선을 위한 프레임워크
우리 도서관에는 많은 개선점과 크고 작은 문제들이 산적해 있습니다. 도서관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과 이를 위한 공간의 재구성도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도서관의...
대구수성구립도서관 “수북” 권두컬럼
공공도서관 공간에서의 이용자 경험 글 최만호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겸임교수 요즈음 우리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수많은 기억과 판단을 디지털 환경에 의존하고 있으며 디지털기기...
먼저 할 것은 먼저: 도서관 서비스 우선 순위도출 프레임워크로서의 Maslow이론 연구
우리가 개인의 동기부여 이론으로 이미 잘 알고 있는 Maslow의 5단계 욕구를 도서관 서비스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이론적 도구로 응용한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이 논문은...
중등학교에서 상호작용, 협업 및 행동 참여를 촉진하는 유연한 학습 공간
초록 전 세계적으로 많은 학교가 학업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 교실을 혁신적이고 유연한 학습 공간으로 대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교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아이들이 책을 읽고 싶게 만드는 도서관의 디자인
미국의 그래픽디자이너인 Michael Bierut가 뉴욕의 학교도서관 리모델링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아이들이 책을 읽고 싶게 만드는 도서관을 디자인하는 것에 대한 경험을...
도서관 이용자 및 도서관 전문가의 도서관 이미지에 대한 비교 연구
도서관 이용자와 도서관 전문가 간의 도서관 이미지의 차이에 대한 연구 논문을 소개합니다. 일본의 연구자가 작성한 이 논문은 PAC (Personal Attitude...
‘도서관을 위한 디자인 씽킹’ 툴킷 소개
'도서관을 위한 디자인 씽킹' 한글판 툴킷을 소개합니다. 서비스디자인에서 가장 체계적인 방법론 중의 하나인 디자인 씽킹은 글로벌 기업들의 신제품 개발과 조직 혁신의 방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