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소가(Mississauga)중앙도서관, 디지털 미디어 중심의 원형 공간으로 탈바꿈하다 아무리 애를 써도, 우리는 아직 공공도서관이라는 존재를 없애지 못했다. 공공도서관은 아날로그 시대 공동체 활동의 마지막 보루이다. 하지만 도서관이라는 틀은 점차 사회에 맞춰 변화해왔다. 지금의 사회는 점점 더 단절되고 있으며, 수많은 자원을 단 하나의 기기로 접속할 수 있는 시대다. 토론토 교외 도시 미시소가(Mississauga)에 위치한 헤이즐 맥컬리언 중앙도서관(Hazel...
![[미국] 쇠퇴해가는 도시의 “커뮤니티를 위한 거실”, 파인 블러프 중앙 도서관](https://i0.wp.com/library.re.kr/wp-content/uploads/2022/09/pine-bluff-main-library-polk-stanley-wilcox-architects_2.jpg?resize=400%2C250&ssl=1)
![[네덜란드] Uithoorn, De Rede에 새 도서관 개관](https://i0.wp.com/library.re.kr/wp-content/uploads/2022/09/%EC%9C%84%ED%8A%B8%ED%98%B8%EB%A5%B8.jpg?resize=400%2C250&ssl=1)
![[대만] 투명성과 접근성을 강조한 도서관](https://i0.wp.com/library.re.kr/wp-content/uploads/2022/08/01bis-Taiwan-Mayu-architects-bibliotheque%40Yuchen-Chao-Photography.jpg?resize=400%2C250&ssl=1)
![[말레이시아] 수상 경력에 빛나는 ‘공원 안의 도서관’으로 탈바꿈한 식민지 시대 건물](https://i0.wp.com/library.re.kr/wp-content/uploads/2022/08/1712702.jpg?resize=400%2C250&ssl=1)
![[중국] 원형 수영장이 있는 절벽 꼭대기 도서관](https://i0.wp.com/library.re.kr/wp-content/uploads/2022/08/the-water-drop-library-shuangyue-bay-huizhou-city-3andwich-design-he-wei-studio_dezeen_2364_col_22.jpg?resize=400%2C250&ssl=1)
